중국문화 301테마 2 - 다양한 키워드로 살펴보는 중국문화 이야기 중국문화 301테마 2
심헌섭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이 갈수록 국제관계로서의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불편함 그 자체로 읽혀진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그런 중국이라도 그들이 어떤 존재이고 또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를 명확히 이해하는 일은 동시대를 공유하며 향유하는 존재로서 나, 우리와 그들 모두에게는 서로를 이해하고 알아 간다는데 있어 유익함으로 빛날 것이다.

보통의 사람들이 중국의 정치나 제도, 역사에 대해 그리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학자적 행위가 아니라면 보편적으로 문화적 다양성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는것이 더욱 바람직한 일이며 한, 중간의 문화교류 차원에서도 성사될 가능성이 크다 하겠다.

중국문화에 대해301테마를 형성해 속속들이 알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중국문화 301 테마2" 는 전편인 테마 1에서 다룬 상징, 정치, 외교, 경제와 역사늘 배제하고 보다 사람들의 삶의 현장을 반영한 문화적인 내용에 치중하고 있어 보통 사람들이 중국의 문화에 대해 깊이, 넖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문화적 측면의 내용들이니 그들 삶과 밀접한 부분들이 많아 마치 방안에서 현장의 생생함을 들춰 보는듯한 기시감을 느낄 수 있다.

저자는 '예술분야' 에 한해 한자, 서예, 문학, 회화, 도자기, 공예, 건축물과 원림, 음악, 연극, 영화에 이르기 까지 방대한 분야를 다루고 있어 깊이 있는 것은 아닐지언정 다양한 분야에 대한 중국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해주며 '삶과 여행' 분야에서는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영향력을 갖추고 있는 먹거리, 그들에게도 유명세를 타고 있는 삶의 이슈들과 자연과 여행에 대해 빼곡하게 들려주고 있다.

특히 나와 같이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중국을 떠올리면 백주, 고량주를 생각하기 마련인데 중국에서도 뛰어난 와인이 생산된다니 놀라웁기도하고 한 번 맛을 보고픈 생각도 든다.

중국의 와인 생산량이 100억 리터에 8년 이상 된 숙성 와인이라니 꽤나 품질 면에서도 장성, 앙조, 위용간홍, 통화와인, 운남홍 등이 있다하니 다른 무엇보다도 끌림이 일어난다.

영화 '파묘'에 대해 날선 비판을 마지 않았던 중국인들의 한자에 대한 이해의 폭이 우리와는 사뭇 다름을 느끼게 되고 회 등 먹거리에 대한 소개, 설명과 어우러지는 사진 자료들의 첨부로 인해 한층 풍성하고 다채로운 중국문화의 면모를 대하게 된다.



흔히 이야기 되는것이 못먹는것 없이 무엇이든 다 먹는다는 중국인의 음식에 대한 의식은 다양성 만큼 식문화에 대한 사랑을 엿볼수 계기가 되리라 생각하며 식사예절, 음식 주문과 같은 부분에서 다름을 느낄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은 한자 문화권의 주축이라지만 문화를 형성하는 사람들의 삶은 매우 다른 문화로 존재하기에 일견 그 차이 또는 다름에 대해 이해하고 알아가는 일은 재미를 준다.

중국에서 10년 이상을 살며 그들 문화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을 저자의 이야기니 만큼 사실적인 중국, 중국문화에 대해 기록한 기록서로 이해할 수 있을것 같다.

갈수록 문화적 침략을  서슴치 않는 중국과 중국인들의 횡포에 맞서 다름을 주장하고 자주적인 민족임을 일깨우려면 우리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는 동시에 중국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많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기대에 부응하는 책이라 하여도 손색없는 도서기에 독자들의 일독을 기대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