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왜 기권하는가 - 투표 참여와 기권의 정치경제학 정치연구총서 6
강우진.권혁용 지음 / 버니온더문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우리의 삶의 나아짐은 과연 무엇으로 판단할 수 있을것인가 하는 물음에는 다양한 답변들을 할 수 있지만 보편적이고 항구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정치와 선거의 참여로 이루어 진다고 볼 수 있는것이 민주주의 선거방식이 함의하는 바라 할것이다.

하지만 갈수록 선거 참여와 투표 불참의 성향은 커지고 그 결과에 따른 의미를 가타부타 따지는 사람들도 있음이 안타까운 노릇이라 하겠다.

참여도 하지 않으면서 결과를 가지고 잘했니 못했니 하는 투의 성토는 개인이든 조직이든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래전부터  가져온 궁금증이 있었다.

자신 혹은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선거이자 투표인데도 참여치 않고 여행 등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를 알고 싶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오늘날까지 치뤄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통해 왜 사람들이 투표를 하지 않거나 거부하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누가 왜 기권하는가" 는 국민이 직접, 간접적으로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이자 정치적 자유로의 참정권이기도 한 선거에 있어 능동성, 즉 자발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선거의 기본권에 대해 그간 대선과 지방선거를 통해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음에 대한 연구를 거쳐 결과를 도출해 낸 책이다.

저자들은 개인사정이나 다양한 조건들이 투표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고 있음을 분석하고 있지만 크게 밀접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조건은 소득의 불평등에 따른 편향성 이외에는 없는듯 함을 볼 수 있다.

정치와 인물에 대한 호감도 등이 정치효능감, 투표효능감으로 구분되어 설명되지만 그러한 부분에서의 대응법은 마뜩치 않다.

아니 대응이랄 수 있는게 없는 현실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느낌이라 하더라도 최선이 아닌 차선의 의미로라도 참여에 뜻을 두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나 하나 쯤이야라는 의식이 20%,  아니 40~50%에 육박한다면 과연 그 때도 자신있게 나, 우리의 현실과 미래의 삶에 대한 질타를 할 수 있을까, 아니 아마도 자격없는 이들로 치부되어 미투표자에 대한 새로운 법안이 만들어 지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정치연구총서 시리즈에서 가장 눈에 띠고 고민해 마지 않았던 주제가 바로 투표 기권에 대한 의미있는 해결책에 대한 답변이라 생각했다.

다양한 조건들이 보여주는 유의미한 결과 분석치는 일상적으로 생각했던 조건들이 유의미한 반영 대상이기는 하지만 사람들의 투표 미참여에 대한 확실함을 반영치는 못한다는 사실을 접하게 된다.

여전히 나, 우리는 소득의 불평등이라는 편향성에 의해 정치의 양과 질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흐름을 읽어낼 수 있다.

그러한 결과를 뒤집어 보면 나, 우리의 삶의 질과 양적 평등성에 대한 불편함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언제라도, 어떤 선거라도 미투표자, 또는 투표 불응자들의 높은 점유율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분석, 도구의 사용, 조건의 정합성 등 다양한 의미를 읽어 선거에서의 기권에 대한 의식을 통찰하고 있어 더욱 선거에 참여해야 하겠다는 다짐을 갖게하는데 유용한 연구결과서라 하겠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