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 - 기후 대재앙에 놓인 아이들 ㅣ 미래주니어노블 14
앨런 그라츠 지음, 김지인 옮김 / 밝은미래 / 2024년 3월
평점 :

기후 대재앙 앞에 놓여 위기감을 느끼는 일이 비단 아이들만의 일일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기후변화로 인핸 대재앙은 이제 지구상에 삶을 두고 있는 나, 우리 모두에게 대재앙으로 다가서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게 되었다.
그만큼 기후변화로 인한 인간의 지속가능한 삶에 의문을 남기고 있는 실정임을 생각하면 안타까울 뿐이라 하겠다.
현실과 미래는 기성세대들이 아닌 아이들의 미래와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의 문제가 미래의 지속기능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일을 지금 나, 우리는 하고 있지 않은지 반성하고 변화를 직접적으로 실행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한 공익적 연대감으로 기후변화가 가져올 대재앙에어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구원해야 마땅하다.
거대한 불길 앞에서 망연자실 넋을 놓고 있는 아이에게 과연 미래는 있을까? 하는 의문에 대답할 수 있다면 그 미래는 어떤 미래이고 나, 우리가 담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그야말로 기후 대재앙을 맞닥트린 우리 아이들의 생존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2도씨 기후 대재앙에 놓인 아이들" 은 어느 한 아이만의 이야기라 하기보다 오늘을 살고 내일을 열어 나가야 할 나, 우리의 아이들에 대한 통칭으로의 모습을 대재앙이라는 이름으로 마주할 수 있게 해주고 있어 경각심과 함께 불안감을 심어주며, 그러한 마음을 통해 기후위기에 따른 대재앙들이 우리의 미래를 구속하는 한 지속가능한 미래는 요원하다는 의식을 일깨워 주고 있다.
대재앙은 인간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자연재해를 일컫지만 따지고 보면 인간의 도발적인 행위에 기인함을 의식하게 되므로 자만심이나 무관심에 의한 의식을 경계해야 한다.
'아키라' 에게 닥친 산 불, '오언' 과 '조지' 에게 나타난 북극곰, 초갓력 허리케인에 휩쓸린 나폴리와 나탈리의 모습에어 과연 우리는 '함께' 라는 의미로 인간이 촉발시킨 재연재해를 극복해 낼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갖게도 된다.
수 많은 자연재해에 관한 영화들이 존재하고 그 영화 속에서의 자연재해들은 문재를 해결하는 영웅의 활약으로 마무리 되지만 현실에서 맞닥트린 재해 상황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함을 실감하게 된다.
영화에서 처럼 긴박감이나 스릴을 느끼기 보다는 생존에의 불안함이 가중되는 현실임을 깨달을 수 밖에 없을 듯 하다.
기후변화로 인한 대재앙은 인간의 보다 편리한 삶을 워해 사용한 화석연로로 인한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 현상이 발생하고 해수면의 상승과 동, 식물들의 멸종에 이르기까지 깊이 관여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전지구적, 전세계적 현상으로의 산불, 홍수와 허리케인 등 최근 발생하는 다양한 기후재난들이 현실임을 일깨우고 그러한 상황이 우리에게 닥치고 있는 현실적 문제에 대한 경고이자 다급한 메시지임을 알려준다.
'자연은 스스로 치유할 힘이 있단다' 는 주장은 지구의 자정능력에 대한 이야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기후변화에 의한 재앙의 발생은 지구의 자정능력의 부재 또는 미약함이 가져 온 결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
우리의 의식적 변화와 행동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이뤄져야만 비로소 그 자정능력을 최상으로 끌어올려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오늘 우리의 과제라 할 수 있을것 같다.
기후변화로 인한 대재앙은 지구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적인 재앙이다.
언제 어느때 마주할지 모르는 불안과 위험을 우리 삶에 끌어들여야 할 까닭이 없다.
변화가 필요한 지금이라 하겠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