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의 빛, 청자 1
정찬주 지음 / 불광출판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고려청자는 세계적 수준의 도자기로 정평 나 있지만 사실 그 상세한 내역을 알고 있는 국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원천적이고 자생적으로 발견, 발전된 고려만의 청자이자 우리나라만의 청자 였으면 얼마나 더 독보적인 존재감을 가질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청자는 고려시대 이전에 이미 중국의 오월 시대 청자 월주요에서 시작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만 그들의 청자는 비색(秘色), 신비로운 빛깔로 지칭하지만 고려의 청자는 12세기 전반에 분청색 도기를 생산함으로써 분청색을 비색(非色), 즉 세상에 표현할 수 없는 색으로 지칭하는 것을 생각하면 얼추 맥락이 통하는듯 하면서도 완전히 다른 존재감을 갖는 두 청자의 존재감을 느끼게 된다.

중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상감청자기법은 고려청자만의 비법이며 그로 인해 고려청자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

한류문화의 세계적인 확산이 우리로서는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라 할 것이다.

그러한 K-컬처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고려청자는 우리의 문화와 역사가 고스란히 정체성으로 녹아든 문화재로 우리에게 깊은 깨달음을 줄 수 있는 빛이 될 수도 있다.

자기만의 꽃을 피워낸 역사적 인물과 수행자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하고 글을 써온 정찬주 소설가의 비색 고려청자 이야기를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깨달음의 빛, 청자 1,2" 는 전 2권으로 구성된 장편소설로 궁복이라는 장보고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그가 부모를 잃고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해 활쏘기와 같은 무예에 특출난 재능을 바탕으로 가난한 자들, 배고픈 자들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청자를 만드는 도요지를 통해 느끼고 부자가 되고자 하는 꿈을 가지고 당나라로 떠나 반란군을 진압하는 진압부대에서 큰 공을 세워 신라소의 대사가 되는 상황으로까지 변화를 목도할 수 있게 된다.

소설에서 궁복은 활쏘기 경연대회에 늦게 참가해 시험을 치룰 수 없었으나 결원이 발생해 기회를 얻어 활쏘기 경연을 치뤄 1등을 하고 상을 받아 활쏘기 대회에서 만난 정년의 집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새로운 세상에서도 돈을 벌고 잘살 수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익히 우리가 알고 있듯 장보고는 청해진을 세워 해상왕국을 건설했다고 알고 있지만 무역과 경제에 관심을 가진 장보고에게 어쩌면 청자 역시 세상에 품귀를 빚는 존재감을 가진 대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도 된다.

역사적 사실을 보면 청자와 장보고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이 그리 많지는 않지만 이는 작가의 상상력을 형성하는 탐구정신의 발로로 이어진 장보고라는 인물과 고려청자의 연관성을 통해 역사적인 맥락을 만들고자 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1권에서는 청해진을 세운 장보고가 중국의 월주청자 보다 더 아름다운 청자를 만들고자 하는 과정을 담아내고 있어 장보고에 대한 우리의 의식을 기존의 무장인 장보고에서 문화창달자로 바꿔내는 의미를 읽어볼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세상의 흐름은 어김없이 장보고에게도 드러났고 그 결과 염장에 의해 허무하게 죽임을 당하는 이야기로 끝맺음을 한다.

2권에서는 그 때까지 고려시대 노비안검법으로 인해 해방된 노비들의 도자기 생산에 참가함으로써 우리가 알고 있는 비색(非色)청자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담아낸  도공들의 이야기를 마주할 수 있다.

이 책의 주요 무대는 탐진이다. 지금의 강진군으로 신라 경덕왕 때에 탐진현으로 불리었다 조선 태종 17년에 강진현으로 바뀐다.

가마터로 등장하는 대구면 용운리, 계율리, 사당리, 수동리 등은 150여 곳의 가마터가 지금도 남아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어 이 책을 읽으며 강진의 가마터를 찾아 역사와 문화를 경험해 보는 여행을 떠나 보는 일도 무척이나 유익하리라 생각한다.



소설의 내용은 그 시대를 살아 낸 사람들의 삶의 모습들을 고스란히 담아 낸 이야기들을 마주하는 일이다.

그 삶은 말과 행동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며 전라도 탐진 지방의 투박하지만 구성진 사투리에 적잖히 웃음도 나거니와 요즘의 말과는 사뭇 다른 의미를 가진 뜻도 있어 우리말이라도 이렇게 다른 표현도 있구나 하는 새롭고 재미있는 느낌을 갖게 된다.

한류 문화로 읽혀지는 K-컬쳐는 유래없는 세계문화유산의 일부이지만 그 어떤 나라와도 비교불가한  독특함을 갖고 있다.

나를 안다는 것은 나, 우리를 형성하는 문화와 역사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안다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우리것이 세계적이라는 말처럼 기존에 존재하는 문화역사의 유산들이 나, 우리를 세계적인 자존감을 갖게 하는 근원이 된다.

마땅히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추는 일은 배움에 그치지 아니하고 더 먼 후대로 계승 발전시키는 역할자로의 모습을 충실히 하는것이라 하겠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