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불운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 일상을 가로지르는 청년 철학자의 생각법
김현집 지음 / CRETA(크레타)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라 하면 우리는 흔히 고대철학자들의 사유를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철학은 고대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이후 오늘날 까지 이어져 오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철학은 철학 자체만으로의 존재감을 갖기도 하지만 더 큰 존재감은 인문학의 주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인류의 오랜 삶에서 파생된 다양한 철학적 사유들이 비단 철학에만 한정 된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삶이 빚어낸 모든 분야 사회, 과학, 문화, 역사, 정치, 경제 등을 포괄한다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최고의 대학으로 평가 받고 있는 옥스포드에서 가르쳐온 클래식스(라틴어로 Classicus는 최고의 계급을 뜻하는 말로 시민계급)를 배우기 위한 과목이며 오늘날 우리는 인문학이라 부르고 있다.

인류사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클레식스를 공부한 사람들, 하지만 오늘날이라 해서 인문학을 공부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혹자는 인문학의 불황이라 말하는 오늘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문학, 클래식스를 공부하는 젊은 철학자들도 존재하리라 판단해 본다.

젊은 철학자의 사유와 통찰적 시각을 담은 에세이를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내 불운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는 나, 우리에게 다가 오는 불운에 대해 좀더 인간적인 면에서의 이해를 필요로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제목만을 놓고 본다면 불운은 나, 우리 자신을 불행하다 느끼게 하는 운이자 기회로 생각할 수 있다.

운을 자연발생적인 기회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운조차 만들 수 있는 기회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운을 의식하건 운과 불운은 나,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저자는 '본인이 자초하기도 하지만, 가까운 사람 사이에 감기 옳기듯 번지기도 한다'고 한다.

이는 나, 우리 자신의 선택의 자유가 존재하지만 인간이 갖는 자유의지를 인간의 한계로 보고 있어 인간 자신의 유전자와 나, 우리를 둘러 싼 환경에 의해 지배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러한 실체를 이해한다면 죄와 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새롭게 정의 될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 인간에게 죄는 비극이자 전염성이 있는 존재였다.

지금껏 이어지는 신화들이 존재하지만 신화에만 한정된 의미가 아니라 삶과 현실을 지배하는 결과로의 의미였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더구나 과거에는 인간의 성격이나 도덕의 결함이라는 의식이 팽배했던 조현병, 강박증 등에 대한 실질적인 원인으로의 질병에 대한 밝혀짐은 인간에게 전해지는 운, 불운에 대한 이해를 달리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 할 수도 있다.



저자는 옥스포드와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클래식스에 대해 통찰한 내용을 담아 독자들의 의식의 변화를 일궈내고자 한다.

나, 우리가 운, 불운을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인간의 삶에 유한한 영향을 미치는 운, 불운은 꼬집어 정의해 내기 어려운 존재이지만 다분히 그러한 의식이 나, 우리의 삶과 인생에 어떤 의미로 다가서는지를 곱씹어 보아야 한다.

우문현답이라 하는 말도 존재한다.

인간의 삶에 대한 다양한 문제의식들이 존재하지만 그러한 문제들이 어쩌면 쉽게 대답할 수 없는 바보같은 질문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문이든 현문이든 현명한 답을 토출해 내고 실천해 나가며 인문학적 존재감이 있는 인물로 살아갈 수 있다면 그야말로 우문현답을 스스로 제시하는 나, 우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도 된다.

그 마중물로의 클래식스 수업을 저자와 함께 가볍게 시작해보자.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