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신 : 간신학 간신
김영수 지음 / 창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무려 3권의 책을 출간하는 일은 그 분야에 있어 정말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는 이상은 할 수 없는 일이라 판단하게 된다.

더구나 책을 쓰는 일이 주문만 하면 뚝딱 만들어져 나올 수 있는 일도 아닌 과정과 결과가 존재하는 일이고 보면 그러한 

일의 실체적 모습을 보여준 한국사마천학회의 김영수 이사장의 집념은 대단한 경지라 칭찬해 마지 않고픈 생각이 든다.

간신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이 존재하는 사회가 있는 이상 간신의 존재는 인간의 이기심의 발로 끝에 드러나는 간악함의 치부가 악행으로 드러난 결과라 평가할 수도 있을것 같다.

30년간의 사마천 연구를 통한 중국 역사의 체계적 학습과 과정은 그가 한 국가 뿐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국가를 아우르는 현상으로서의 간신에 대한 통찰을 담아낸 작품을 3권의 시리즈,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으로 세상에 내어 놓았다.

하나의 작은 현상일 수도 있었을 론에서 기인해 보다 큰 간신전으로, 국가를 망하게 하는 간신학에 이르기까지의 간신에 대한 통찰론을 통해 정치를 통해 국익을 해치고 자신의 기득권만을 누리고자 하는 간신들의 횡포를 수법화한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간신학" 은 자기 이익을 위해 나라를 팔아 먹는 일도 서슴치 않는 인간 무리로의 존재를 간신으로 일컬음으로써 그들이 어떻게 간신의 역활과 행동을 합리화하고 수법화 하는지를 살펴 깨달을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성선설에 기반한 의식의 반면에 존재하는 성악설적 판단을 해 보면 자신의 이기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치밀하게 계획하고 행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일상에서 벌어지는 사기꾼, 아첨꾼, 농간꾼 등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는가 하면 거시적으로는 국가산업의 존폐와는 상관 없이 국가기밀에 속하는 비밀을 자신의 이기를 위해 팔아 넘기는 행위와도 닮아있다 말할 수 있다.

간신들이 행하는 수법들이 어느 하나만의 수법일 수 없기에 저자는 간신의 수법과 비슷하거나 악용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들에 대한 포괄적 안내를 돕고 있어 조금만 관심을 기울여도 우리 주변의 간신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인물을 파악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그들의 존재만 확인한다고 해결되는건 아무것도 없다.

그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함은 어쩌면 저자가 생각하는 것보다 독자인 나, 우리가 더욱 성급하게 조바심을 내어 찾고자 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한 방법으로의 대응책을 함께 생각하고 고민해 볼 수 있는 여지는 우리에게 과거와 현실, 그리고 미래에 이르는 인간 삶의 진정성에 대한 탐구차원의 의미를 제공하는 일이라 판단해 볼 수 있다.

저자가  누누히 책에서 강조하는 간신현상은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지금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현상임을 말한다.



독자는 저자의 간신과 관련한 3책,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을 통해 간신현상을 주목하고 간신들의 수법을 케치해 판별해 냄으로써 역사의 평가와 심판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경고를 제시한다.

저자는 수많은 간신수법과 간신모략에 대한 이야기를 빼곡히 수록해 놓아 책의 어느 부분을 펼쳐 읽어도 크게 무리함이 없는 구성으로 독자들을 대한다.

이러한 구성은 마치 열려 있는 하늘을 보는듯 어느곳을 보아도 하나의 주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라 글쓰는 입장에 있는 나, 우리와 같은 이들에게도 효과적인 방식으로의 구성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우리의 역사가 아닌 중국의 방대한 역사 속에 드러난 간신들의 숨겨진 이야기들이라 식상할 수도 있지만 역사를 이어가며 간신현상을 만들어 이어가고 있는 간신들의 최후 말로를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무지에서 깨어나 간신을 명확히 이해하고 간신현상과 간신모략에 대한 지식을 갖춰 더이상의 간신들이 판을 치는 세상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결기를 다져본다.

저자 역시 그러한 바램을 담아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에 이르는 방대한 간신담론의 종지부를 찍었으리라 판단해 보며 저자의 적잖은 노고에 힘찬 응원과 수고의 박수를 함께 보내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