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바로 하는 습관 - 미루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오늘부터
미즈에 다쿠야 지음, 김소영 옮김 / 프롬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삶은 잠재된 습관의 실행으로 이어진 과정으로의 행동들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인간에게 습관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판단할 수 있는 일이고 보면 오늘 나, 우리가 사는 일상에서의 나, 우리의 모습이 어떠하냐 생각하는 것은 습관의 좋고 나쁨에 따른 결과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습관이란 것도 얼마든지 생각하고 바꿀 수 있는 대상이기에 그렇게 마음 먹은 사람들 만이 자신의 삶을 위해 습관을 바꿀 수 있고 또 바꿔가며 새로운 삶을 열어 간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현실의 나, 우리의 삶이나 생활에 불만이 있어도, 혹은 자신에 대한 불만이 있어도 마음의 간절함 만으로는 쉽게 나, 우리의 일상을 열어가는 자세를 바꿀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면 나, 우리 자신이 가진 습관을 되돌아 보고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어떻게 바꾸어야 할지를 고민하고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천해야만 한다.

하지만 습관이란 인간의 행동을 만들어내는 변화를 야기하기에 결코 쉽다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을 갖고 있다.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울 수도 있는 습관 만들기를 통해 나, 우리가 가질 올바른 습관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자 하는 저자의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지금 바로 하는 습관" 은 올바른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지만 정작 실행에 있어서는 흐지부지 되는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습관을 지금 당장 만들 수 있음을 34가지 액션 플랜으로 알려주는 책이다.

어떤 생각이나 행동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잠재된 습관의 힘을 통해 지금 당장 그 일을 할지, 미뤄 둘지를 고민하고 그에 따른 선택적 행동을 한다.

그러한 습관화를 우리는 자신을 엄하게 다스리거나 행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습관화에 대한 방법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도 우리의 마인드 변화에 있어 꼭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생각과 행동이  따로 노는 결과로의 나, 우리를 자주 목도하게 되는걸까?

우리의 몸과 마음은 연동되어 있지만 이는 머리로만 알고 있지 몸이 움직이지 않았다는 말과 같으며 몸이 움직이지 않음은 머리가 아닌 마음이 거부반응을 일으켰다고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해답은 몸을 움직이게 하려면 마음을 움직여야 한다는 사실을 확연히 깨달을 수 있다.

마음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것이 움직이기 위한 첫걸음이라니 저자가 주장하는 '바로하는 비결' 을 위해서는 바로 하고 싶어하는 상태를 만드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나, 우리는 모두가 자신의 인생, 삶에서 가슴 뛰는 일을 하며 살고 싶어한다.

그러한 가슴 뛰는 일은 우리가 말하는 꿈이자 희망이라 말할 수 있는 바이고 보면 습관을 만드는 일은 그러한 꿈과 희망을 달성하고자 하는 마음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가슴 뛰는 일을 하는데 미루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면 아마도 이러한 사실을 몰라서 못했거나 생각지 못했기에 그러했을 수 있다는 합리화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 책을 읽고 이해한 독자들은 아마도 자신의 가슴 뛰는 삶을 위한 습관 만들기를 지금 당장 실천하고자 할지도 모를 일이다.



저자는 나, 우리가 만들 습관의 특징을 하나로 꼬집어 드러낸다.

즉 지금 바로 행동 한다는 것은 바로 하고 싶어 하는, 바로 하고 싶어진다는 것을 말하며 그러한 성향을 나의 잠재의식속에 만들고자 노력하면 뒷전으로 미루기와 같은 잘못된, 나쁜 습관을 고치고 무엇에든 도전하는 설레임을 주는 나, 우리를 만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그 운명의 문을 여는 길, 방법에 대한 안내를 34가지 액션 플랜을 통해 제시하는 저자의 주장 하나 하나가 모두 귀중하고 필요한 습관 형성을 위한 자산이 된다.

흔히 나,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 스스로를 깍아내리거나 불평하는 마음을 갖는다.

첫 단계가 바로 그러한 나, 우리 자신에 대해 늘 하는 일이지만 '작심삼일'만 해도 좋으니 나, 우리 자신을 칭찬하라고 주문한다.

그러한 가운데 어떤 일이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OK 하는 습관을 넘어 마지막 지금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는 사실, 그러한 생각을 하고 있는 지금의 시간도 어제 생을 마감한 누군가의 간절한 염원이었을 시간이라 판단하면 감사함으로 마무리 해야 함을 일깨워 준다.

흔히 우리는 다시 태어나면 무엇을 어떻게 할까를 상상하는 일을 자주 하지만 그러함이 상상으로만 끝냄이 아닌 진정한 나로 다시 태어나고자 하는 의미로 생각한다면 지금의 나를 바꿔 새로운 나를 목도할 수 있는 기회를 나, 우리 스스로에게 주어야 한다.

그러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데 진심을 보이는 저자의 좋은 습관을 가진 나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에 함께 동참해 보아도 좋을것 같다.


**네이버 카페 리뷰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