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학살을 넘어 - 팔레스타인에서 우크라이나까지, 왜 인류는 끊임없이 싸우는가
구정은.오애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역사에 있어 전쟁은 수도 없는 횟수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러한 전쟁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 보느냐에 대한 인식을 통해 전쟁 그 자체를 좀 더 다르게 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혹자는 전쟁이므로 그 어떤 행위나 무자비함도 용서가 되는 전쟁이라 인식할 수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전쟁이라 하더라도 비인간적 행위를 일삼는 일을 배재한 전쟁을 생각할 수도 있는 법임을 생각해 보면 지금 우리가 마주하는 무수히 많은 현대 전쟁들 역시 그러한 방향으로의 전쟁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무자비함으로 얼룩진 전쟁이 아니라 인류애가 밑바탕이 된 전쟁이 되어야 함은 어쩌면 전쟁을 치루는 당사자 국가들 역시 바라마지 않는 바램일 수도 있다.

그러한 인간애가 존재하는 전쟁은 자국만이 아닌 자국과 타국의 안위를 함께 염려하고 목적적 전쟁을 치루고 있다 하더라도 인권과 평화라는 의미를 되새겨 새로운 의미를 전달해 줄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지구상에서 벌어지는 거의 모든 전쟁은 분쟁의 원인과 해결책이 나름대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표면상으로 드러난 전쟁의 목적과 함께 전쟁에 숨겨진 진실을 이해하고 인류애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전쟁이 될 수는 없을까 하는 의미를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전쟁과 학살을 넘어" 는 국제정세에 대해 오랜 기자 생활을 한 저자들이 전쟁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고민하고 그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법을 제시하는가 하면 전쟁으로 말미암아 무자비함으로 얼룩진 전쟁이 아니라 인류애로 포장 된 전쟁이 될 수 없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 우리의 전쟁에 대한 가치관을 바꿔놓기 위한 책이라 볼 수 있다.

전쟁의 발발은 대량학살,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민간인의 살상과 전쟁포로의 처형, 사회 기반시설의 파괴와 인간 삶의 지속가능함을 어렵게 하는 행위로 그 어떤 나라도 전쟁의 고통을 쉽게 벗어날 수는 없다.

유엔은 그러한 전쟁을 중재하기 위한 기관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미한 영향력을 가진 조직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인간의 역사에 그려진 수 많은 전쟁들의 원인은 과연 뭘까?

이러한 물음에 쉬 대답할 수 있다면 전쟁을 예방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판단할 수도 있다.

저자들이 전쟁의 원인으로 꼽은 세가지 원인을 살펴 보면 권력과 이익의 불균형, 불평등과 빈곤, 정치적 지도자의 무능 및 독재로 설명하고 있다.

아마도 첫 번째 원인인 권력과 이익이라는 부분에서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전쟁들에 미국의 개입이 있었고 그 전쟁들은 승리도 패배도 아닌 상황으로 끝난 경험을 볼 수 있다.

세계의 경찰? 누가 미국더러 세계의 경찰 노릇을 하라고 주문했나?

아니다, 결코.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의 문제들을 이용해 전쟁을 일으키고 자신의 이익을 챙겨 온 불편한 나라임이 틀림없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전쟁, 시리아 내전과 아프카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다양한 전쟁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 된 미국, 그들은 왜 전쟁을 통해 모든걸 해결하려 하는걸까 궁금해 진다.



저자들은 전쟁의 원인과 그 해결법에 대한 이야기를 자신들이 경험해 온 국제사회의 이슈들을 통해 이해하고 제시함으로써 좀 더 나은 전쟁문제의 해결법을 조명하고 있다.

전쟁을 하는 당사자 간에는 실로 무자비함으로 치달을 수도 있는 입장이지만 제 삼자 격의 다른 나라들이나 유엔의 중재등은 무자비함을 저지하고 인류애적 의미로의 전쟁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을 알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할 수 있다.

자기 정체성과 민족주의에 기인하는 의식보다는 지구 전체의 안녕을 위해 인류애와 윤리성을 보여주는 전쟁을 지속한다면 적어도 자신들을 지원하는 더 많은 국가들의 힘을 통해 더 빠른 전쟁 종식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갖게 된다.

전쟁을 겪어 보지 않은 세대이기에 전쟁의 참혹함을 쉬 알수는 없지만 모든걸 앗아 가버리는 전쟁만큼은 없어야 한다는 사실을 실감하며 인간의 마음에 자리한 전쟁, 그의미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을 조심스럽게 느껴본다.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