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문해력의 힘 - 청소년의 문해력을 키우는 미디어 활용법
윤세민 외 지음 / 유아이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해력? 지금껏 문장을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은 범주라 생각했었지만 요즘의 우리 삶을 생각하면 문해력의 실종에 대해 걱정스런 눈빛을 보이는 일은 이제 흔한 일상이 되었다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우리의 일상은 수 많은 미디어와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그러한 미디어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장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의 감소는 다르 무엇 보다도 타인과의 관계에서 소통불가의 문제에 영향력을 미치는 결과를 만들어 낸다.

과연 이대로의 상태를 지속하고 좋아해야 하는 걸까 하는 생각은 염려스러운 상황이 되어 오늘을 사는 많은 사람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수 많은 이들의 염려를 목도하게 된다.

과거와는 다른 삶을 살아가는 오늘날의 청소년들에겐 문해력의 감소가 아무런 일도 아닌것 처럼 느껴지지만 실상은 소통 부재의 상황으로까지 치달으면 걷잡을 수 없는 상태로 빠지게 된다는 사실을 아직 모르기에 가장 손쉽게 만날 수 있는 미디어를 통한 문해력 향상의 기틀을 마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자 변화의 싯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미디어 문해력 향상을 위한 제언을 위해 노력하는 저자들의 글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미디어 문해력의 힘" 은 현실의 다양한 대학 학부의 교수님들이 미디어와 문해력의 상관 관계 및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 하며 문해력 향상에 대한 각자의 해법을 들어볼 수 있는 책이다.

물론 전적으로 교수님들의 이야기가 100% 옳고 실현되어야만 한다는 보장은 장담할 수 없지만 현실속의 청소년들이 맞이하는 수 많은 미디어를 통해 드러나는 문해력 감소, 불가의 현상을 해결하는데 일정 부분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해력의 감소는 비단 청소년들만의 문제라 치부할 수는 없는 어른들 역시 그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실감하게 되는 사례들이 많다.

과자봉지의 성분표, 물건 등의 사용설명서, 뉴스나 영화평론과 생각을 해야만 하는 글들을 접하며 이해해야 하는 과정을 거추장 스럽게 생각하거나 아예 생각조차 하지 않으려는 상황으로 흘러가는 것은 오늘을 사는 거의 모든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자리하고 있는 효율적인 삶의 편리한 모습을 그리는 부분으로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삶은 아직 천국의 그것처럼 너무도 쉽고 편리한 삶이나 생활이 아닌 몸을 움직이고 생각하며 올바른 길로 나아가고자 노력하는 노동과 생각의 과정을 담고 있어 그러한 과정을 글로, 문장으로 의미하는 많은 내용들을 읽어낼 수 없거나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보통의 평범한 사람이 아닌 그야말로 독특하고 별난 사람으로 인식될 가능성을 스스로 만드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그러한 나, 우리의 문해력 감소에 대한 원인과 사례들을 밝히며 그에대한 대응책으로의 뉴스활용에 방점을 찍고 있다.

더하여 뉴스에서 제공된 좋은 기사, 나쁜 기사 등을 가려 뽑아 글쓰기를 해 보고 타자와 함께 토론하는 과정을 거쳐 타자와의 소통과 이해하는 마음을 읽어내길 권유한다.

문장을 읽어만 낸다고 문해력이 향상되었다 말할 수는 없다.

이해함과 동시에 자신의 의식에 자리한 가치 기준에 따라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주체적인 인간으로의 존재감을 갖는것이 오늘을 사는 나, 우리에게 필요한 문해력 향상의 목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대의 변화로 말미암아 문해력의 감소가 발생되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기 보다는 시대의 상황을 활용해 문해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함을 주장한다.

다양한 국가에서도 문해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바, 그들의 대응책에 대한 모습을 나,우리의 그것과 비교해 보며 미디어를 활용한 문해력 향상에 유익함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기를 바래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