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로 보는 동아시아사 - 분단과 연대의 20세기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다카시마 고 지음, 장원철.이화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력의 상징을 생각하면 국방력과 스포츠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생각할 수 있다.

세계 각국의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 올림픽이고 보면 스포츠를 통한 평화적인 힘겨루기 역시 또하나의 역사를 이루고 있다.

올림픽은 전세계 국가들의 모임이자 장이지만 동아시아는 또 그 나름대로의 스포츠 역사를 가지고 있다.

스포츠는 자국의 눈부신 활약상을 국제 사회에 과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또하나의 투쟁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 속에는 스포츠 정신만의 숭고함만이 아닌 정치적 의도가 다분히 투영된 모습도 볼 수 있다.

스포츠에 정치적 저의를 깔고 있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탈정치적 스포츠를 주창하고 순수 스포츠에 몰입하는 그 이면에 스포츠가 담고 있는 분단, 연대의 정치적 현실을 통해 스포츠가 가진 다양한 함의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스포츠로 보는 동아시아사" 는 분단과 연대, 스포츠와 정치, 세계와 아시아라는 생각해 볼 주제를 스포츠를 통해 투영해 보는 책이다.

유럽이나 선진국은 동아시아사와는 매우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동아시아사는 아직도 분단과 연대의 힘결루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분단과 연대는 삶과 직결된 주체이며 스포츠는 그 역사를 통해 상황변화, 극복의 의지, 포용과 배재 등에 대한 이해를 해 볼 수 있다.

스포츠는 정치와는 별개의 관점을 가져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별개의 존재로 치부할 수는 없다.

스포츠와 정치적 문제는 정치적 차별로의 형태로 드러났고 현실정치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받는다고 본다.

과연 스포츠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을 무시하거나 무시해도 될지에 대한 의미는 곱씹어 생각해 볼 일이다.

국내 정치의 불안은 나, 우리 삶의 환경의 불안과 직결된 상황으로 판단하면 스포츠는 차선의 문제라 생각하게 된다.

서양제국주의에 의한 전파로 인해 동아시아 스포츠는 태생부터가 정치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스포츠를 통해 보는 동아시아사에서 정치와 스포츠는 불가분의 관계라 인식하게 되는 근원을 찾을 수 있어 조금은 다른 동아시아사에 대한 의식을 가질 수 있다.



동아시아사에 포한된 대한민국 역시 남북의 대치 상황에 놓여 있어 온지 오랜 시간이다.

광저우 아시안 게임이 치뤄지고 있는 지금이지만 한중일 삼국만의 관계 뿐만 아니라 스포츠를 통해 동아시아사의 역사를 되돌아 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된다.

올림픽이든 또다른 스포츠 행사이든 정치적 분쟁을 끝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다만 스포츠가 지향하는 가치와 의미에 대한 세계인들의 이해, 동아시아인들의 이해를 위해 우리는 여전히 정치를 배제한 방식으로의 스포츠를 온전히 즐기고 온전히 만들어갈 필요성이 있다.

스포츠가 가진 진정성과 연대적 가치, 의미를 깊이 이해 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마련해 줄 책, 독자들의 일독을 권해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