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죽지 마세요
최문정 지음 / 창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새내기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이 알려져 우리 사회, 교육 현장이 도대체 왜 이렇게 되었는지를 의심하게 되는 상황들이 빈번하다.

이는 우리 모두의 잘못이자 돈과 권력을 앞세운 사람들의 기득권적 파워에 소중한 생명이 스러진 결과라 말 할 수 있다.

'소는 누가 키우나?' 고 하는 개그맨의 말이 유독 뼈 때리는 아픔으로 자리한다.

교육자들에 대한 불신이 도를 넘어 이젠 막대해도 되는 사람들 처럼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잘못된 교육(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등)이 우리의 아이들, 그리고 나, 우리를 자기밖에 모르는 이기주의적 존재로 만들어 왔다 생각하면 틀림이 없다.

지속가능한 우리의 삶을 완성해야 할 아이들을 가르치고 성장케 할 선생님들의 안위 조차도 지켜줄 수 없다면 우리의 미래 삶은 혼돈과 막장의 삶으로 치닫게 된다.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선생님의 사랑을 받아야 할 아이들이 선생님, 죽지마세요 라고 전하는 씁쓸하고도 기가 막힌 그러나 변해야 할 까닭과  이유를 들어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선생님 죽지마세요" 는 교직에 담고 있는 교사들의 처우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으로의 물음을 하는 까닭에 나, 우리의 교육과 교사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미를 교사들의 죽음을 통해 알려주려는 책이다.

오래된 사람 축에 끼인 내 기억 속에  존재하는 교사는, 교사들의 죽음은 요즘의 그것처럼 흔하지도 안타까워할 그 무엇도 아닌 것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왜, 어떻게 교육현장이 변했길래 교사들을 죽음으로 내 몰고 있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어느 업계나 갑질의 대상은 있기 마련이라 치부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중한 생명을 헌신짝처럼 끊어버리는 당사자에게도 조금의 문제는 있다 생각하게 된다.

오죽했으면 죽었을까? 죽을 생각을 했을까 하는 워로와 동정의 기척도 내 비칠 수 있지만 그리 따진다면 이는 교사만의 죽음에 한해 안타까운 마음을 갖는것을 넘어서야 한다.

그렇다. 이는 교직이자 선생님만의 문제라기 보다 우리 자신이 가진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문제라 여길 수 밖에 없는 노릇이다.

'교사가 행복한 학교만들기?' 진정 행복한 교사, 선생님을 만드는 일은 학교장, 교사,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서로를 행복하게 하기 위한 공동체적 연대감이라 생각하고 함께 양보와 배려와 동참을 이뤄 나갈때 비로소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런 틀에 박힌듯 한 목표라도 이룰 수 있는 나,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어느 한 집단의 희생으로는 절대 이룰 수 없고 함께라는 공동체적 집단으로의 행불행은 모두의 행불행과 맞물려 있기에 우리 역시 행복하지 않은 삶을 만들게 되는 결과를 얻는것이리라.



죽음을 생각해야할 정도의 교육현장이라 생각하고 싶지 않다는게 솔직한 심정이다.

우리에게는 교사란 직업의 안정적이고 질높고 환경 역시 좋은 꽤나 좋은 직업이라 생각하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

물론 그렇게 생각하는 나, 우리의 인식이 문제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직업적 특성을 가진 교직원들의 잦은 죽음은 그리 좋은 인상으로 남지 않는다.

저자는 말한다. '고통은 참고 견뎌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치유해야만 한다'.

맞는 말이기도 하며 자신의 선택이 꼭 죽음일 수 밖에는 없었는지에 대해 묻고 싶어진다.

차라리 교직을 떠나는 도피라도 여지를 둘 수 없었는지 모든 교사들이 근본적인 처우 개선이 맞닥트린 현실에 대해 양가감정을 갖게되는 책이라 전하고 싶어진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