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뇌는 어떻게 창조하는가 - 인공지능과 뇌과학으로 본 인간의 호기심과 창의성의 기원
다이코쿠 다츠야 지음, 김정환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조라는 개념을 인식하는 건 인간만이 독점적으로 행하는듯 한 느낌이 든다.

동물 세계에의 그 어떤 존재와도 소통할 수 없음으로 인해 인간만의 특질이라 생각하게 되는건 이 뿐만이 아닌 다양한 것들이 존재한다.

정말 궁금하지 않는가? 인간은 창조하는 삶을 살아왔다지만 그러한 생각을 했기에 행동했고 삶으로 이어져 왔음을 생각해 보면 인간의 뇌가 가진 신비로움을 물질적 현상으로 파악하기 보다 새로운 무엇으로의 의미를 담는다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인체의 신비로움은 어느정도 밝혀진 상태라 할 수 있어도 인간의 뇌에 대한 비밀은 여전히 안개속과 같은 모습으로 그 진실한 모습을 발견할 때까지는 요원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느낌이 든다.

뇌과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뇌가 어떤 역할을 하며 뇌의 어떤 특질들이 우리 삶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판단을 해보며 그에 관련된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우리 뇌는 어떻게 창조하는가" 는 인간이 가진 성향이 안정 추구와 변화 추구라는 이율배반적 행태를 보이고 있음을 생각하고 그러한 심리적 기제들이 오히려 마음의 동요, 흔들림에 기인하는 두갈래 현상이라는 깨달음을 갖게 한다.

안정을 추구하는 일도 정도껏이며 변화를 추구하는 일도 정도껏 해야 한다는 의미를 십분 이해하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궁금해 지지만 그러한 의미를 이해하고 적절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노력하는 사람들은 현명한 삶을 살고 있다 판단해 볼 수 있다.

일상의 뻔한 일들의 반복으로 우리는 안정에 대한 변화를 추구하게 되고 음악이나 수학문제 등 어려운 것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변화를 위한 시도를 통해 안정에 대한 열의를 느끼게도 된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이 가진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으며 불확실성은 양면의 동전처럼 수시로 얼굴을 바꾸어 나, 우리의 삶에 대한 자극, 안정, 변화를 이끌어 내는 동인이 된다.

저자는 그런 나, 우리의 삶에 필요한 '흔들림' 이야 말로 우리 뇌가 창조를 필요로 하는 학습의 일환이라 주장하면 그러한 학습을 뇌가 하는 통계학습이라 지칭한다.

뇌의 통계학습에 대한 이야기, 통계학습의 기억으로의 전환, 흔들림의 열쇠가 되는 벗어남의 인식과 동기, 통계적 사고에 대한 이야기로 책의 구성은 쉽게 만나볼 수 없었던 뇌의 창조성에 대한 의미있는 시선으로 가득 채우고 있다.

인공지능 AI 의 등장으로 인간이 더욱 인간다워 지고 인공지능에 의한 영역의 빼앗김 없이 살기 위해선 인공지능이 아직까지는 따라잡지 못하는 인간다움에 대한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들려주고 있어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에 대한 명확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구성상 1~4장 까지의 내용은 뇌의 통계학습과 관련, 뇌의 기능과 시스템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터에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기에 저자는 이러한 부분을 염두에 두어 허물없고 장벽 없는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5장 부터 독서하기를 당부하고 있다.

물론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춘 사람들이라면 어느곳 부터 읽어도 문제가 없겠지만 뇌과학 및 인간의 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생소한 사람들에게는 저자의 안내가 오히려 효과적인 독서방법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미묘한 벗어남 ' , ' 흔들림' 등 어쩌면 불확실성을 또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설명이 될지도 모르지만 우리의 뇌는 그러한 상황을 통해 안정도, 변화를 추구하는 의미도 읽어내고 실행할 수 있게 우리 자신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몰랐던 뇌, 뇌의 통계학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뇌의 창조성에 대한 비밀을 밝혀 지평을 여는 시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안고 저자의 또다른 뇌과학 도서들의 출판을 기대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