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산문답·계방일기 - 인간과 만물 간의 경계를 넘어 우주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 클래식 아고라 3
홍대용 지음, 정성희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역사시험을 위해 달달달 외웠던 홍대용의 '의산문답', 나, 우리가 홍대용이란 인물, 의산문답이라는 고전을 아는 한도라 할 것이다.

물론 많은 지식인들을 편협하게 깍아내리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박사들,유명인들 조차도 홍대용의 존재와 그의 명저 의산문답에 대해 아는것은 나와 크게 다르지 않을것이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

직접적으로 홍대용과 의산문답 등 고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인물이 아닌 이상 거의 나와 같은 동질감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할 수 있는 일이 잘못 되었다 말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수 많은 기회들 중 책을 통해 홍대용이란 인물과 그의 불후의 명저 의산문답 · 계방일기를 읽을 기회를 얻을 수 있어 차분한 마음이 된다.

북학파의 선구자인 홍대용, 새로운 세계 중국 연행을 다녀 온 후에 쓴 의산문답과 정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계방일기를 만나 새로운 세계관으로 실사구시를 주창한 그의 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을 읽어본다.



이 책 "의산문답 · 계방일기" 는 오늘을 사는 나, 우리로서는 마음먹기 전에는 쉽게 고전을 만나볼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을 Arte 출판의 노력으로 고전의 향기를 삶의 이기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더구나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북학파가 지향했던 유교적 가치와 지식, 명나라 중심의 중화주의에 대한 비판과 자기만의 사상과 철학을 세워 실사구시로의 학문으로 발전시킨 까닭에 오늘 우리 사회, 세계가 마주한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의 가능성을 홍대용의 사상과 철학, 사유와 통찰에서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만인이 평등하다는 생각을 갖고 산다.

어쩌면 이러한 생각은 이미 홍대용의 만물평등론에서 비롯되고 이어져 내려온 의식은 아니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홍대용은 지구는 우주에 흩어져 있는 수 많은 별들 중의 하나라는 생각을 했고 또한 땅이 둥글기에 중심이 따로 없다는 의식을 통해 중국이 가진 중화주의 질서를 배격, 파괴하는 의식을 가진 인물이었다.

이는 중국에서 보면 조선이 오랑케가 되지만 횽대용의 의식대로라면 중국이 오랑케가 되는 이치니 모든 나라가 평등하다는 만물평등론에서 그 가치와 혜안을 살펴볼 수 있다.

의산문답은 실학자로의 '실옹'과 가상인물로의 '허자'가 등장하며 공리명분에만 치우친 조선조정과 중국과의 관계를 새롭게 편재하고자 하는 홍대용의 열망이 돋보이는 고전이라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계방일기는 왕이 되기 전의 정조인 세자와의 경연을 담은 일기로 깨어있는 인물과의 질의응답 기회는 착실하게 변화, 개혁을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쌓는 일이기도 한 과정이라 할 수 있는 교육적 내용을 담고 있어 혼탁한 오늘의 우리사회, 국가에 정도의 의미와 올바른 변화를 추구하는 방법에 대한 의미를 깨우쳐 줄 수 있으라 판단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오늘날 우리는 비주류로 태어난 삶을 주류적인 삶으로 바꾸고자 애쓰며 노력하고 산다는 것이 정설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담헌 홍대용은 역설적인 인물이다. 우리와는 판이하게 다르게 주류적인 삶에서 비주류적인 삶을 지향한 인물이고 보면 과연 범상치 않은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금수저의 반항쯤으로 여겨질 수도 있는 모습이지만 홍대용은 그러한 금수저로의 백그라운드도 포기하고 천문, 수학, 역산학, 음악, 병법 등 학자로서의 길을 걸었고 몇 차례의 관직도 그만두고 책읽는 이로의 삶을 살았던, 그러나 그가 배우고 익히고, 연행기록을 통해 밝힌 책들은 우주와 지구, 그리고 기상현상에 이르기까지 신비하고 변화를 실감하게 하는 내용들로 이뤄져 있어 혁신, 창의, 창조를 중시하는 지금의 시대와 너무도 부합된다 할 수 있다.

시대를 선도하는 변화, 개혁과 세계관에 대해 새로운 눈을 뜬 그의 모습처럼 담헌의 글과 삶의 이야기들을 통해 우리의 변화에 대한, 세계관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조금은 바꾸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