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대화술 - 속마음 들키지 않고 할 말 다 하는
이노우에 도모스케 지음, 오시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사람들이 흔하게 하는 말이 있다.

'일은 힘들어도 괜찮은데 사람이 힘들어 못해 먹겠다'는 말이다.

이러한 삶이 우리의 일상이라 생각하면 정말 생지옥이 따로 없다는 생각을 할 법도 하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로서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할 뿐 아니라 쉬 대화를 통해 소통할 수도 없다는 현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모두다 자기 내면의 마음을 숨기고 소통을 위한 대화를 이끌어갈 역량도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서로가 서로에게 갖는 이런 마음들이 쌓일 수록 우리는 관계에 어려움을 토로하게 되며 소통을 위한 그 어떤 방법도 관계형성을 위한 요원한 현실이 되도 말지도 모를 일이다.

과연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인간관계를 맺어야 하며 타인과의 소통을 이뤄야 할까 하는 궁금증이 생긴다.

자신의 속마음을 들키지 않고 할 말 다하는 존재가 된다면 차라리 속끓이며 사람이 힘들다고 토로하는 나, 우리의 모습을 목도하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나, 우리의 심리적 방어선을 무너트리는 사람들에게 맞서 나의 속마음을 들키지 않으며 할 말 다하는 시원한 심리 대화술을 알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속마음 들키지 않고 할 말 다하는 심리 대화술" 은 우리를 힘들게 하는 곳, 직장에서 만날 수 있는 빌런들이 도사리고 있는 현실 속 인간관계에 대한 비밀스런 대화술을 알려주는 책이다.

빌런들이 도사리고 있는 직장, 과연 누군들 출근하고 싶어질까? 하는 마음을 우리는 모두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런 빌런들 때문에 직장을 출근치 않거나 때려치울 수도 없는 노릇이고 보면 억울하고 분해도 참아내며 하거나 혹은 속마음 들키지 않고 할 말 다하는 존재로 나를 바꾸는 일 밖에는 해답이 없음을 깨닫게 된다.

정신과 의사이자 직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로의 산업의인 저자는 다년간의 외래진료와 기업방문을 통해 직장인들이 갖는 압도적 문제가 바로 인간관계이며 그것으로 인해 스스로를 '사회부적응자'로 자책하는가 하면 상대를 '성가신 사람'으로 매도하게 되는 경우를 갖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경향은 어느곳을 가나 일반화된 모습처럼 비춰진다. 그렇다는 것은 우리 삶의 일상이라는 말과 다를바 없음이라 생각할 수 있는 것이기에 나, 우리의 인간관계에 대한 문제라 여길 수 있어야 하며 그에 대한 해답, 해결책으로 빌런이자 성가신 사람들을 바꾸는것이 아닌 바로 나, 우리를 조금만 바꿔서라도 마음이 편해지는 방법을 찾으라고 전한다.

저자는 인간관계는 개별성이 강한 만큼 상대를 유형별로 분류해 효과적인 대처법을 제시한다.

즉 인간관계를 보는 나, 우리의 관점을 바꾸어 대처하라는 저자의 강한 주장은 실질적인 효과와 함께 의미있는 인간관계를 구축하는데도 유익하리라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다.

나, 우리에게 빌런으로 읽히는 사람들을 피한다고 해결이 되지는 않는다.

개인적으로 저자가 제시한 방법론 가운데 가장 마음에 드는 방법이 Part6에서 제시한 '어떤 상황에서도 내 마음 먼저 보호하기'다.

내 마음 먼저 보호하기에는 남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부탁하는 기술을 익히기, 나와 남을 칭찬하기, 긍정만이 답이 아닌 부정도 필요하다는 마음, 현실적 상황을 인지하는 습관기르기, 기분나쁜 감정, 스트레스를 받아들이고 해소하기 등을 통해 나, 우리를 불편하기 하는 빌런들과 거리를 둠과 동시에 나, 우리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신경만 쓰며 인간관계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익혀 실천해 보아도 좋겠다.



인간관계를 필수적으로 해야만 하는 직장에서의 나, 우리는 타인에게만 빌런의 모습을 발견하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자기 자신은 그런 빌런과 하등 관련이 없다는 듯 하는 몰상식하고도 파렴치한 인간들이 많다는 사실은 어쩌면 일상의 나, 우리 역시 그러한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빌런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꼰대'가 왜 꼰대일까? 생각해 본적이 있을까?

자신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젊은이들을 대하는 그들의 마인드가 꼰대적이라는 사실을 생각해야만 한다.

물론 지금의 젊은이들도 언제까지나 젊은이로 있을 수 없고 그들만의 꼰대 세대가 되겠지만 인간관계에 대한 우리의 생각, 사유 역시 나, 우리는 빌런이 아니야~! 를 마음속으로 외치고 있을지도 모를 꼰대가 되어 있지는 않은지 한 번 쯤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조금이라도 타인들의 시선에서 불편함과 이상함을 감지한다면 빌런의 자격을 갖추고 있거나 빌런일 가능성이 높다 판단하면 틀림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런 나, 우리 자신의 정체성, 직장에서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타자와 함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노력하는 윈윈의 관계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하겠다.

저자의 심리 대화술을 통하면 적어도 가슴않이 하는 나, 우리의 모습을 보는것 보다 사람을 보는 시각을 새롭게 가질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할 수 있을것 같다.

그 소중한 기회를 이 책과 함께 할 수 있다면 더욱 인간관계에 대한 매력도 넘치는 존재가 되지 않을까 판단해 보며 일독을 권해 본다.


**출판사 밀리언서재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