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의 벽 : 실천편 -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만드는 80가지 방법 80세의 벽
와다 히데키 지음, 김동연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변 지인들과 그들의 부모님들의 삶이 대략적으로 80세를 기준으로 삶과 죽음의 길로 바뀌는듯 한 느낌을 얻는다.

어쩌면 이러한 생각은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80세에 못미치는 이유를 원인으로 생각해서 드는 생각, 느낌일지 모르지만 여하튼 많은 지인들과 그들의 부모님들의 죽음이 80세를 마치 하나의 벽처럼 느끼게 하는 현상을 불러 일으키고 있어 하는 말이다.

100세 시대라는 말도 이제는 오래된 말이라 느껴지게 된다.

하지만 현실 속에 우리의 삶은 80세를 기점으로 노후라는 개념을 인식하는 듯 하다.

이는 의학적 ·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80세를 분기점으로 행위를 중단한다는 의미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단행위는 이어지는 행동과 마음의 변화를 불러 일으켜 건강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결과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많아진다.

건강수명, 무턱대고 오래 살고자 함이 아닌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수명을 말하며 그러기 위해 우리는 건강수명을 늘리는 방법을 알려주는 전문가의 가르침을 배우고 익혀 따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그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80세의 벽" 은 건강 수명을 위해 '그만두지 않기'와 '참지 않기'를 통해 80세의 벽을 넘기 바라는 저자의 실질적인 80세 넘기의 80가지 힌트 즉 음식, 수면, 입욕, 집안일, 운동 등에 관한 실천적 요령을 담아 독자들이 이론만이 아닌 행위함으로써 자신의 80세 벽을 넘어설 수 있도록 만드는 효과를 보여주는 책이다.

80개의 힌트 모두를 다 실천할 수는 없다. 다만 자신에게 맞는 힌트를 찾아 자신의 삶에 적용해 습관화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자는 나이듦을 인정하고 불필요한 인내는 하지 않으며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현명하게 지속하라고 역설한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는 은퇴, 퇴직 등을 경험하며 그때부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유유자적하며 살려고 하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주변의 지인들이나 매스컴을 통해 보는 국민의식 속에서 그러함을 발견할 수 있고 보면 그러한 현상은 자기 스스로 80세의 벽을 넘기지 못할 일을 만드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인간은 오랜 과거부터의 꿈과 희망으로 '영원한 삶'을 꿈꿨지만 그 어떤 방법으로도 노화와 죽음에 이르는 길을 늦추질 못했다.

늦춘다는 생각이 잘못된 생각일 수도 있겠지만 자신의 생각, 행동의 여부에 따라 늦은 죽음을 맞이할 일도 빠른 죽음을 불러 올 수도 있는 개연성은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80세의 벽이라는데, 그 벽을 넘기 위해 과연 나, 우리는 어떤 마음, 어떤 생각, 어떤 자세로 그 벽을 넘고자 하는지 스스로에게 되 묻고 해답을 내려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나는 평소에 밥을 잘 먹어야 한다는 지론을 가지고 있다.

저자의 80가지 힌트 역시 맛있게, 충분히 식사하라고 주문하는 것에서 나는 힘을 얻는다.

또한 약과 의사와 몸이 보내는 신호의 수치를 의심하라 하며 놀고, 외출하고, 웃는 생활을 하는 등의 주문을 하는가 하면 각 챕터의 말미에 핵심 체크포인트를 두어 우리의 신체활동적 측면에서의 주의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건강관련 한 도서들의 저자들이 유독 일본인 의사들이 많은 이유를 조금은 알것도 같다.

또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의사들과의 괴리감도 느껴지고 그간 우리의 일상에서 좋든 나쁘든 습관으로 행해져 왔던 행동들이 잘못된 방식, 습관이었음을 깨닫게 되는 일은 80가지 힌트를 통해 참으로 많구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일본이니까 가능하다는 생각도 있다. '라면 국물은 다 마셔도 염분의 과다 섭취가 아니다' 와 '밥이나 빵부터 먹으면 안된다'는 주장만 보아도 일본이니까 가능하다는, 지금껏 몰랐던 부분이라거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일본의 라면은 우리의 일회용 라면과는 질적인 면에서 다른 음식이다.

인스턴드 면에 스프가 주인 우리의 라면을 국물까지 다 먹는다? 천만에 말씀이라고 당장 그만두라 말할 의사들이 대한민국에는 차고도 널렸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국가, 지역간의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요인도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볼 수 있고 그러한 요인이나 근원을 좀더 세밀하게 알려주는 건강수명 지킴이로의 역할을 하는 책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도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