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노화 - 젊게 오래 사는 시대가 온다
세르게이 영 지음, 이진구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8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824/pimg_7974361233990671.jpg)
인간의 오랜 희망이자 꿈인 장수는 지금도 여전한 목표라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장수가 나이들고 병들어 아픈 상태에서의 오래 사는 삶이라면 아마도 현실의 그 누구도 바라는 바가 아니라고 말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장수의 이미지는 젊음을 유지한 장수임을 생각하면 그에 대한 인간의 끈임없는 노력들이 빛을 볼 날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된다.
현대의 진단과학, 정밀의학, 유전공학, 재생의학 등 장수와 관련한 과학은 파격적인 속도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지금껏 우리가 가졌던 의식속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이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고정관념을 이제는 깨트리고 새롭게 노화를 재정의 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해야 한다.
그런 의미를 담아 독자들의 노화에 대한 의식을 바꿔 줄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역노화" 는 주관적 의미의 노화, 개인이 생각하는 주관적 나이와 신체적 노화에 끼치는 영향이라는 지금까지의 이론적 배경과 노화는 피할 수 없다는 암묵적 관점을 생물학적 특성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는지를 명확히 하려는 과학적 과정들이 정수혁명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촉발하고 지속적인 과학기술들의 발전을 선보이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게 해 준다.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현상에 비해 너무 늦고, 부정확하고,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진단의 비효율적 기능을 생각하면 최근의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과 발전은 그러한 진단의 과학적 메커니즘을 변화시키는 대응이자 희망을 잉태한 과학적 도전이라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판단을 해 보게도 된다.
저자는 오늘날의 정밀의학에 대한 수용과 혁신을 인간 삶의 장수화를 위한 수단으로 제시한다.
과거 그 어느 때 보다 현대의 과학적 정밀의학 세계는 보편성을 공고히 하며 부정확한 존재의 실질적 데이터를 통해 신뢰성 높은 헬스케어 산업의 선도적 역할을 한다.
그러한 변화는 보통의 사람들 뿐만이 아닌 의사, 병원, 보험회사, 제약회사 등 관련 대상들의 급격한 변화를 꾀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가 구축되어 지속가능한 인간의 건강데이터 자원을 장수와 연관지어 활용할 수 있는 최적화가 이루어 질 것이라 반단하게 된다.
인공지능이 과학적 정밀의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생각하면 지금껏 보편적으로 생각해 왔던 비효율적인 구조와 볼필요한 비용을 투입했던 부분을 개선해 보다 효율적인 진료체계와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런 계발과 발전의 끝에 의사를 삼킬 수 있다는 시대가 도래 한다면 어쩌면 인간은 기계와 하나 된 모습으로 삶을 살아가게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드는데 현실화가 될지 어떨지는 아직은 쉬 판단할 수 없을것 같다.
건강수명을 늘리고자 하는 일이 지금 우리가 바라는 장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이미 그러한 방향으로 과학적 정밀의료 체계는 움직이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생물학적, 기술적, 윤리적 관점에서의 당위성을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다.
모든 인간에게 공감을 얻는 공통점은 삶과 죽음이라는 전제이다.
삶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변화가 역노화에 의한 삶의 지속가능성의 연장이라면 죽음은 지금껏 사유했던 노화로 인한 종식의 의미를 새로운 관점, 노화의 패러다임을 바꿔 현재보다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크게 가질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일이야 말로 인간의 오래 희망이자 꿈인 장수를 실현하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역노화의 패러다임을 시작할 기회를 이 책과 함께 하길 귄유해 보고자 한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