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우리를 다정하게 만드는가 - 타인을 도우려 하는 인간 심리의 뇌과학적 비밀
스테퍼니 프레스턴 지음, 허성심 옮김 / 알레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의 각박함이 영화나 드라마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안방으로 송출되어 마치 우리사회가 꼭 그러함만 있는것 처럼 오도되는 것도 하나의 비극이라면 비극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닌 일부분이라는 사실임에는 분명하기에 일부를 통해 전체를 파악하는데 문제가 될 뿐 인간 사회 전체를 그렇게 판단하는데는 심각한 오류가 될 것이다.

인간은 이기주의적 존재이기도 하지만 학습된 이타주의적 존재감도 보여주는 존재이다.

홀로 살 수 없는 존재기에 이타적 삶을 위한 배경에는 타인을 위한 공감과 이해가 필수적이며 그러한 수용이  성정으로 나타나는 따듯함 혹은 다정함으로 빛을 발하는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다정함을 심리학, 신경과학, 뇌과학적 비밀을 통해 밝혀내려는 이야기를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무엇이 우리를 다정하게 만드는가" 는 심리학, 신경과학, 뇌과학적 근원이 아니라도 인간적인 면모로의 다정함을 갖춘 사람들에게 누구나 호감을 느끼고 다가가고 싶게 만드는 끌림이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지만 그러함이 자연적인 의미로 생성된다기 보다 다양한 학문적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간의 다정함에 얽힌 비밀을 파 헤친 내용을 설명해 주고 있어 무척 흥미로운 느낌으로 마주할 수 있는 책이다.

책은 대중교양서로 대중의 교양적 지식을 확대하고 그간 알아 왔던 지적 소양을 개선, 확대하려는 의미도 있다 판단할 수 있는 내용들이 '인간은 왜 이타적인가?"라는 물음으로 귀결되는듯 한 목차들이 이어져 있어 이타적 존재감을 통해 인간적 소양으로의 다정함이 표출되는 근거에 대한 연구 등을 살펴보게 된다.

세계는 약육강식의 자연계와 같은 모습을 표방하고 있지만 완벽한 싱크로율 100%는 아니기에 그 속에서도 인간다운 삶으로의 모습을 보이고자 하는가 하면 인간다운 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즉 이타적인 존재로의 회귀를 논하는 이들도 존재하는데 이는 인지신경과학적 설명으로 이해하기에는 아쉬운 듯 하다.

이러한 다정함이 학습된 의식이 아니라 생득적인 본성이라 주장하는 연구자들의 이야기는 나, 우리의 의식을 일깨우고 바꾸는데 일조한다.

한 편으로는 나와 타인의 같고 다른 점들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무척이나 흥미롭고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었음을 밝히고 싶다.


인간이 이기주의적이라는 말 역시 본성적이라 할 수 있지만 인간이 이타적 존재라는 말 역시 본성적이라 할 수 있다.

서로가 서로를 위하며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가운데 무엇이 필수적으로 필요한지를 깨달아 '다정함'으로 무장한 나, 우리의 삶이 이어지고 있다 생각하면 저자가 이야기 하는 다양한 학문적 성과로의 결과가 맞는듯한 느낌도 든다.

공감과 이타주의에 대한 인간의 발현이 지속가능한 나, 우리의 삶을 열어가는 핵심 키워드가 되는것 같아 새로운 발견으로의 눈을 뜬 시간이 되어 저자의 우리를 다정하게 만든것에 대한 설명이 인상적이라 할 수 있겠다.

인간이 가진 이타적 감정의 표현이랄 수 있는 다정함으로 전지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머지 않은 나날들을 기대해 보고 싶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보게 된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