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윈의 사도들 - 최재천이 만난 다윈주의자들 ㅣ 드디어 다윈 6
최재천 지음,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인간의 기원 이래 존재의 형성에 의문을 품은 것이 진화론이라 생각하면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이자
동물로서의 생태적 변화를 밝히는 일은 그 무엇 보다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할 것이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 은 오늘날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 영향력을 미친 그야말로 위대한 업적이자 연구 결과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윈의 진화론을 통해 나, 우리는 어디서 왔는지를 살필 수 있고 인간 뿐만이 아니라 생명체의
지속가능함의 바탕에는 진화론이 배경이 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다윈의 시대 이후 선진국에서의 다윈 연구와 다윈의 업적, 진화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활용
되었음을 살필 수 있으나 한국에서의 그러한 연구결과는 지난한 시간이 지난 후의 오늘에서야 이루어 졌음이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다윈의 연구에 대한 포럼 등이 발족되어 진행되고 있음이고 보면 앞으로 더욱 더
유익하고 다윈의 연구에 충실한 결과물들을 만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갖게된다.
국내 생물학계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최재천 교수의 감수를 통해 만나 보는 다윈의 사도들, 그들의 다윈에 대한 추종을 읽어본다.

이 책 "다윈의 사도들" 은 우리나라 생물학계 대표 과학자인 최재천 교수가 다윈 사후 다윈의 업적과
진화론을 연구한 다윈의 제자들을 만나 다윈주의에 대한 이해를 독자들이 좀 더 쉽게 이룰 수 있도록
도움주며 12명의 다윈의 사도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정말 생각지도 못했던 화려한 내용들을 전해준다.
종종 나,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곤한다. 나, 우리는 왜 존재하는지를...하지만 그에 대한 대답을 나, 우리 스스로가 이끌어 내지 못하고 마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에 대한 대답이 바로 진화론에 녹아 있음이고 보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해 이해하고 살피는 일이
인간을 포함한 종의 근원을 밝히고 이해하는 일이다.
존재의 근원이 진화론 속에 존재하면 당연히 진화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쌓아야 한다.
다윈 탄생 214년, 종의 기원 출간 이후 164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다윈의 이론은 현대 생물학의 기초에 확고한 부동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생물 다양성의 확대에 대한 연구를 한 피터 그랜트. 로즈메리 그랜트 부부, 헬레나 크로닌, 스티븐 핑커, 리처드 도킨스, 대니얼 데닛, 피터 크레인, 마쓰자와 데쓰로, 스티브 존스, 맷 리들리, 마이클 셔머, 제임스 왓슨, 재닛 브라운 등 각 인터뷰이의 연구 분야도 무척이나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그들 각각의 인터뷰이와의 대담에서 묻고 답하고 하는 내용들이 관심을 이끌고 있어 부족한 내용,
관심을 두어야 할 내용이 존재 한다면 각각의 독립서적을 챙겨 읽어보는 일도 무척이나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라 판단해 본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왜 다윈을 중요시 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인간은 스스로의 잘난 맛에 사는 존재로 자신이 사는 지구를 종말로 몰아가는데 일조하고 있다.
생태계에 적대적인 존재라는게 기정 사실이고 보면 진화론적 관점을 통해 나, 우리의 행태를 되짚어 보고 반성해 보아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인간의 모습에 큰 변화를 느끼지는 못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인식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진화론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지구 속 다양한 환경에 따라 인간 역시 조금 씩의 기능적 변화를
갖고 있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일 이십년~수 백년 정도를 통해 인간의 진화를 밝혀 내는 일은 어려운 일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 생태계의 확고한 법칙처럼 여겨지는 진화론이 존재하는 모든것의 근원이 되고 있다면
분명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언제인지 알 수 없지만 변화, 진화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시기가 도래할 것이라 판단해 본다.
다윈의 사도들이 비춰주는 인간 존재의 증명을 진화론으로 통섭해 낼 수 있는 지적 우월감을 맛보고
싶은 독자들을 위해 일독, 재독을 권해본다.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