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의 역사 - 흑사병부터 코로나까지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리처드 건더맨 지음, 조정연 옮김, 김명주 감수 / 참돌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무분별한 파괴행위는 스스로의 삶 마저도 파괴할 수 있는 지경으로 까지 우리 자신을 몰아가고 있는것은 아닌지 궁금하게 생각될 때가 있다.

그도 그럴것이 자연인으로의 인간에서 사회인으로의 인간 변모는 자연적 방어체계인 자정작용과 면역으로의 기능적 퇴화를 가져왔다.

인간의 역사 이래 무수히 많은 감염병들이 창귈하고 사라져 갔다.

그러한 감염병들이 어디서 왔고 우리는 어떻게 치료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또다시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감염병 지침서로의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감염병의 역사" 는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간을 위협하고 고통스럽게 하는 감염병의 실태를 파악하고 두려운 존재로의 감염병이 아닌 극복하고 견뎌내야 할 감염병으로의 대처법을 익혀 앞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에 지혀롭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주는 책이다.

감염병의 대부분은 인수공통 감영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사람과 동물 모두가 감염되는 병들이고 보면 사람만 치료, 치유 한다고 해결 될 문제도 아님을 깨닫게 된다.

수천 년을 내려온 감기부터 아테네역병, 흑사병, 천연두,  콜레라, 스페인 독감, 수두, 결핵, 성병, 소아마비, 사스, 메르스, 코로나 19 등 우리가 겪어온 감염병 만도 참으로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아직 이러한 감염병을 정복하지 못한 우리의 현실이 암담하기만 하다.

과학기술의 발달이 인간의 삶을 편리하고 더 오래 살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되었다 생각하지만 자연인으로의 건강함과 맞바꾼 사례는 아닐까 하는 궁금증도 일어난다.

감염을 일으키는 데는 감염원이 매개 역할을 하는데 감염원은 그야말로 광범위한 범위를 가진 존재들이라 생각할 수 있고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류, 심지어 기생충 절지동물 등도 보함되어 있고 보면 인간의 삶이 이루어지는 모든곳에 포진해 있을것 이라 판단하게 된다.

보건의학 전문가들은 30, 40년 주기의 감염병 유행을 예견하기도 한다.

그들의 주장대로 겁내지 않고 환경의 개선과 식생활개선, 공중보건의 발달, 의료, 의약의 발달 등 감염병 예방과 치료, 지연에 이르기 까지의 방법들을 통해 극복해 나갈 수 있음에 희망을 걸어야 한다.


인류의 역사는 감염병의 침범으로 얼룩져 오염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오랜 염원을 반영한 도전과 극복의 의지는 정복까지는 아니라도 함께(with) 하는 공존의 영역으로 개척하고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대응으로 인류의 미래 지속가능성을 열어가려는 부단한 노력의 역사라 할 수 있다.

감염병에 대한 걱정과 고민도 해야 하겠지만 인간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병들에 대해서도 관심과 대응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한다.

코로나 19가 몰고온 폭풍은 실로 어마어마한 변화를 야기했다.

과거 수 많은 감염병들이 그러했듯 코로나 19 펜데믹은 인류에게 새로운 사회,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품도록 한 트리거가 되었다 생각하고 더욱 밀도 높은 연구와 개발을 통해 인간에게 발생하는 무수한 병증들을 해결해 나가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품어본다.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