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서 온 평양 여자
오혜선 지음 / 더미라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우리는 북한의 실정을 명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한 부분을 탈북자들의 수기와 고해성사와 같은 도서들을 통해 파악하고 있음이 안타깝지만 국가적 차원의 보안이 문제시 될 수도 있는 부분이 존재하기에 도를 넘어서는 앎을 추구하는 일에도 적잖히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는 노릇이다.

정치 체제의 다름이 가져다 주는 이질감은 우리가 쉽게 느끼지 못하는 부분이자 많은 것들이 우리가 생각하고 상상하는 그것과는 다름을 인지할 수 벆에 없다.

특히나 민주주의 세계에 있어서도 특권층의 삶은 비밀에 쌓여 있지만 북한의 특권층에 대한 사실도 쉽게 드러나지 않는 일이라 할 수 있어 국민들이 북한의 실정을 아는데 한계점으로 지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밖에 없다.

고위급이자 특권층의 삶을 살았던 인물의 탈북을 통해 그들 사회의 특별한 권력층의 삶과 그들에게도 전가되는 무언의 압력처럼 느껴지는 체제의 중압감을 느껴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런던에서 온 평양 여자" 는 북한 국민들의 삶 보다 북한 고위층, 특권층의 삶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을지? 북한 문제에 전문가적 소견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상 더 이상 알 수 없는 그들의 은밀하고 비밀스런 속살을 드러내고 있어 이 책을 통해 북한 고위층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적잖은 파장을 줄것으로 기대되는 책이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이 서민도 아닌 고위층, 특권층으로의 삶을 살았다면 구태여 탈북을 해야 할 까닭이 없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들 역시도 자유 민주주의의 특권층과 같은 삶을 누릴 수는 없었기에, 더구나 자유에 대한 갈망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체제의    불안정성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불안해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6부로 구성된 책의 내용들이 북한 일변도의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기에 저자의 북한에서의 삶을 유추하고 상상해 보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북한 관련 뉴스를 통해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는 분명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체제의 다름으로 인해 적대시하고 있는 남북한의 실상을 말하지 않더라도 이미 북한은 남한과의 동질성을 뿌리치고 독립적인 체제로의 완벽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보여진다.

그부분은 한 민족임의 정체성을 끈질기게 유지하려는 우리의 노력이 배재되는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과 생각이 든다.

목숨을 담보로 삶을 살아야 하는 세상이라면 얼마나 그 체제에 불안함을 느끼게 될까?

감히 상상이 안되는 체제이기는 하지만 그런 체제에서 삶을 살아 왔던 저자의 녹록치 않는 삶의 그림자는 그야말로 모래성이라 지칭할 수 밖에 없을 듯 하다.

저자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가져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그들의 지속되는 삶에 밝은 길로 인도하는 빛이 드리웠으면 하는 바램을 담아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