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2000년생이다 - Z세대와 세련되게 일하고 소통하는 법
허두영 지음 / 데이비드스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0년생 사람들을 우리는 M 세대라 지칭하고 또 그 이후의 사람들을 Z세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오늘 우리가 흔하게 MZ 세대라 부르는 명칭이 명확한 세대의 구분을 가르지 않고 적당하게 뭉뚱그려 놓은 세대라고 생각하면 잘못된 구분임은 분명하다.

명칭은 인식을 위한 구분자이기에 올바른 명칭의 사용이 필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것은 현실적인 세대 구분론이다.

대한민국은 베이비 부머 세대를 포함 다양한 세대가 어울려 사는 공존의 사회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권력의 실권이 이제는 Z세대로 향하고 있음을 이해하는 일은 시사하는바가 크다 판단할 수 있다.

명확한 개념이 없는 것도 문제이지만 명확한 세대구분 없이 뭉뚱그려 말하는 일도 이제는 지양해야 한다.

그러한 우리의 의식을 바꾸고 현실의 사회적 권력의 힘이 어떻게 Z세대에게로 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이젠 2000년생이다" 는 시대의 변화라는 정체성이 담고 있는 인류의 세대 흐름 가운데 Z 세대라는 지극히 공감하기 어려운, 아니 이러한 의식 조차 Z세대를 편견의 눈으로 보고 있음을 깨달을 수 있는가 하면 Z세대 당사자라면 당연한 의미와 사회적 존재감을 드러내고 사회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대와의 공감과 교류를 위한 방법론을 고민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책이다.

이걸요? 제가요? 왜요?...우리사회가 맞이한 현실적인 Z세대의 모습이자 기성사회에 속한 세대로서는 어이없는 현실을 목도하게 되는 문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러한 Z세대의 등장과 사회속 주류 권력의 이동은 그들에게로 흘러가고 있음이 현실이고 보면 이제는 그들이 문제가 아닌 기성세대 및 Z세대가 아닌 세대들의 의식의 변화에 대한 노력을 염려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고 본다.

어쩌면 우리는 '나'를 기준으로 모든것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세상을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나, 우리와는 달라도 너무 다르고 그 지나침이 최고조에 다다른 Z세대의 출현에 망연자실 어이없음은 물론이고 이 사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하는 고민에 휩 쌓이게 되었다.

이젠 그들과 좋든 싫든 함께 일하고 부대끼며 살아야 하는 현실이 도래했다.

Z 세대 그들과 일함에 있어 함께 일 잘하는 법을 제공하는 저자는 6가지를 주장한다.

번아웃 염려를 하지않을 쉼을 제공하고,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일의 의미를 납득시키고, 무엇보다 결과에 대한 평가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대우해야 하며 합리적인 목표와 동기를 부여해야 하며 각자가 가진 강점과 개성을 적용해 일하게 하며 미래를 위한 커리어의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해준다.


아마도 이러한 Z세대와 함께 일하기 위한 6가지 주장을 통해 반감을 가질 수 있는 수 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역지사지라는 의미를 그간 우리는 너무도 쉽게 이해했지 않나 싶다.

아니 이해가 아니라 그건 자신에게 이로운 방식으로 이해한 것에 불과했을 뿐인 이기심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함이 우리 삶의 역사 속에 고스란히 자리하고 있음을 생각하면 나, 우리 역시 지금의 Z세대와 동일하지는 않지만 같은 나이, 세대일 때에는 기성세대와의 간극을 마치 당연한 것처럼 여겼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세대의 반복은 인간 역사 속에 반복되는 순환적 구조라 할 수 있다.

모두가 이걸요? 제가요? 왜요?..라는 의미로 일하기 싫어한다면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은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할 수 없다.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된다는 것은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 능력이 커진다는 것과 다를바 없고 다양한 세대를 어루고 달래 미래로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연대를 이루어 나가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고 있다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 현실의 나, 우리의 새대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이 책을 통해 가질 수 있는 나, 우리가 속한 세대는 어디인지를 명확히 구분해 내고 Z 세대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존재가 되어야 하겠다.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