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철학자들의 죽음 수업 - 무엇을 위해 살고, 무엇을 사랑할 것인가? 메이트북스 클래식 12
미셸 에켐 드 몽테뉴 외 지음, 강현규 엮음, 안해린 외 옮김 / 메이트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난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걸어가는 존재가 인간이라 한다.

그러고 보면 인생은 삶에 대한 수업이기도 하지만 죽음에 대한 수업이기도 하다는게 나의 생각이기도 하다.삶과 죽음은 뗄 수 없는 양날의 검과도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기에 우리는 늘 삶에 대한 생각만 하지 죽음에 대한 생각은 삶에 대한 생각의 십분지 일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여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보통의 사람들은 제외하더라도 수 많은 철학자들은 죽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매진해 왔음을 이해한다.

하지만 인간의 역사를 통해서도 죽음에 대해 뚜렷한 정의를 내리거나 죽음을 해석하는 일은 확실한 해답이 없다.

그러하기에 인간에게 죽음은 풀리지 않는 숙제이며 현실의 삶에 있어 우리를 가장 공포로 휩 쌓이게 하는 근거이다.

인간은 모두 예외없이 죽음에 이르고 죽음을 거부할 수 없다.

다섯 명의 철학자가 풀어낸 죽음에 대한 수업을 통해 죽음을 조금더 이해하고 삶을 더욱 빛나게 할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위대한 철학자들의 죽음 수업" 은 몽테뉴, 아우렐리우스, 세네카, 키케로, 래프 톨스토이가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살고, 무엇을 사랑해야 하는지를 죽음에 대한 은유로 들려주는 책이다.

죽음을 기준으로 놓고 보면 인간은 제 아무리 다르다고 한들 다 똑같은 인간일 뿐임을 실감하게 된다.

그저 평범한 존재이기에 삶에 있어 크게 다르다고 유별을 떠는 일은 그야말로 오만이라 할 수 밖에 없는 나, 우리 자신의 우메함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은 우리의 삶을 정화하고 맑게하는 기제와 같다.

몽테뉴는 태어나서 부터 죽음을 향해 간다고 하는 의미를 말하고 아우랠리우스는 오래산 사람이나 요절한 사람이 잃은 것은 '현재'라는 생각과 세네카는 시간의 소중함을 통해 죽음을 상기시키며 키케로는 하루하루 죽음에 가까울 수록 삶이 충만해 진다는, 그러한 삶을 살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깨달음을 주며 래프 톨스토이는 현재 속에서만 삶이 존재한다고 의미를 현재에 두고 있다.

시간은 우리를 살아 있게도 죽음으로 몰고 가기도 하는 존재이다.

삶과 죽음이란 것이 나, 우리의 시간의 연속선상에 일부로 존재하는 점이라면 위대한 철학자들이 보이는 '현재'에 삶의 방점을 찍을 수 밖에 없다.

물론 미래를 내다 보고 산다고 하지만 인간에게 미래는 또다른 현재와 다르지 않다.

그런만큼 인간은 현재를 충실하게 살아가야 할 의무와 책임이 정해져 있다 판단하면 어떨까 싶다.


진시황처럼 불로초를 찾아 떠나보냈어도 결국 그는 죽음의 품에 안기었다.

어떤 존재들의 아우성으로라도 죽음의 품을 벗어날 수 없음이 삶의 운명이라 할 수 있기에 죽음과 조우하기 까지는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 자신만의 삶이 인간 군상들과의 치고받고 아우성치며 사는 각다구 같은 삶이 아니라 인간다운, 인간답게 사는 모습을 지향해야 함을 깨달아 본다.

인간이 인간답다고 생각하는 의미를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으리라 판단한다.

저마다의 인간적인 삶, 인간에 방점을 찍고 시간에 방점을 찍어 현재를 어떻게 현명하고 지혜롭게 살아갈 지를 고민해 볼 수 있는 죽음 수업은 죽음이 곧 삶이요, 삶이 곧 죽음이라는 치환의 법칙을 통해 깨달을 수 있으리라 믿고 싶어진다.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