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기 눈을 심어라 - 눈멂의 역사에 관한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탐구
M. 리오나 고댕 지음, 오숙은 옮김 / 반비 / 2022년 12월
평점 :
편견이란 공정하지 못하고 한 쪽으로 치우친 생각이라고 정의한다.
그런데 만약 인간의 신체 중 일부가 그러한 편견을 일으키게 하는 주범이라면 과연 우리는 그런 신체를 이용해야 할까?
눈은 보고자 하는것, 보여지는것 들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창구이지만 존재하는 외형적 모습만을 볼 수 있지 내부적 모습으로의 의미나 가치를 파악할 수는 없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또다른 가치를 지닌 존재임을 부인할 수 없다.
한 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을까? 두 눈 멀쩡한 사람들이 장애자이고 시각장애인이 멀쩡한 사람들이라면 그들이 이야기 하는 봄과 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조금을 달리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우리는 지금껏 이분법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일들을 보고 생각하며 판단하며 행동하는 삶을 살아왔지 않는가 생각하면 시각장애는 문학, 철학, 대중문화 속에서 어떻게 그려지는 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의미를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거기 눈을 심어라" 는 시각이 단순히 눈으로 들어온 대상의 피상적 물체를 인식하는 것만이 아닌 대상 인식의 신호가 뇌에서 어떻게 해석되는냐에 따라 형성되는 우리의 의식을 이해할 수 있고 두뇌가 망막의 전기 자극을 해석하는 법을 배우지 못해, 시각보다 촉각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된 시각장애인의 실체로 우리의 시각에 의존하는 삶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우리가 알게 모르게 인식하는 신뢰이기도 하지민 기준에 대한 근거이기도 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몸이 주체가 아닌 불편함이 주체라면 우리는 아마도 삶이 힘겨워 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불편함은 나, 우리 모두가 싫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겪는 이들은 다름이 아닌 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몫으로 치부된다.
이는 불평등과 합치한다. 왜냐고?
기준의 명확함이 편견에 쌓여 있다면 현실의 온전한? 사람들은 과연 장애가 아닐까? 하는 물음을 비추는것에 한계가 있음을 이해하는 존재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꼬이고 꼬이는 문답이 되는것 같다. 하지만 경험해 보지 못한 시각 장애인에 대한 촉감은 여전히 현실의 나, 우리가 태생부터의 감각을 시작으로 Zero 라는 것을 사실로 인정하고 '함께' 라는 겸어(謙語)를 인정하는 밝은 세상이 이뤄 졌으면 하는 생각으로 무거운 시각장애인의 세세한 삶의 기운을 느껴 보았으면 하는 바램을 갖는다.
개인적으로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감정이 최고조에 달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무의식이 행하는 일이라 생각하지만 보이지 않는 사람들애 대한 나름의 생각을 더욱 골똘히 해 볼 수 있게 한 책으로 기억하고 싶다.
더불어 시각장애인에 대한 사고를 완전히 바꾸어야 할 필요성도 느끼고 있어 이 책의 저자에 대한 흠모가 다른 책에 대한 그것 보다 더욱 살갑게 느껴진다 할 수 있다.
편견에 대한 관찰, 의식, 생각과 행동을 통섭헤 볼 수 있느 소중한 기회를 맞이할 독자들의 시간을 소중하게 여겨보고싶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