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물었다 - 소중한 것들을 지키고 있느냐고
아나 아란치스 지음, 민승남 옮김 / 세계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으로도 역설적이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 문구라 할 수 있다.

죽음 잎에 소중한 것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이며 그것을 지킨다 한들 과연 죽음이 소중함을 지켜줄 보호자도 아니고 보면 다분히 죽음이 묻는다는 말의 의미는 죽음 그 자체에 있는것이 아니라 죽음까지 이어지는 우리의 삶을 은유하는 의미가 아닐까 생각하게도 된다.

삶의 완성이 죽음이라 했다는 어느 누군가의 말을 빌리자면 우리는 삶이라는 자체를 죽음으로 향하는 '죽어감'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판단을 해보게도 된다.

그러한 죽어감이 우리에게 묻는다는 의미라 생각하면 제목이 주는 의미를 십분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삶을 삶이라 하지 않고 죽어감이며 종국에는 죽음과 맞물려 있는 존재로 생각하면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소중함과 갖가지 미사여구를 사용해도 모자랄 그 무엇들에 대한 희구는 그저 삶의 장식품 처럼 한 번 쓰고 버려야 하는 소모적 감정의 잔재에 불과하다는 판단이 들기도 한다.

죽어감에 대한 의미를 통해 삶의 의미에 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는 저자의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죽음이 물었다 소중한 것들을 지키고 있느냐고" 는 인간은 삶과 죽음이 맞물린 과정속에서 삶 속에 유영하듯 애착을 갖는 존재로 삶이 비춰주는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언제까지고 소유할 수 있으리라는 판단을 하는 무지를 갖고 있으며 그러한 우리는 삶에만 애착을 가질 것이 아니라 죽음 역시 관심과 애착을 가져야 할 부분임을 깨닫게 해주어 우리의 삶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는 완화의료 의사가 보여주는 삶과 죽음에의 단상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죽음은 세상 그 어느 누구도 경험해 보지 못한 절대적 법칙이다.

경험이라는 말도 살아 있으며 체험해 느끼고 이해할 수 있음을 뜻하고 보면 죽음은 해당사항이 없는 경험이 될 뿐이다.

호스피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완화의료 등 알 듯 모를 듯 한 의미가 꼬리를 물고 궁금증을 일으켜 끝끝내 완독을 하게 만드는 힘이 된다.

호스피스는 죽음을 앞둔 환자가 평안한 임종을 맞도록 위안과 안락을 베푸는 봉사 활동.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과 시설을 뜻하기도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 안락사를 시키는 존재로 기억하고 있어 저자의 말처럼 다수가 믿고 있는 '정상적인 것'을 뒤집어 볼 필요성을 느끼게도 된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호스피스계의 대모이며 그녀는 죽음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심리적 단계를 제시했는데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 이라는 5단계 과정을 거친다고 하지만 사람마다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주장한 인물이다.

완화의료는 호스피스가 시설이나 간호를 돕는 인물이라 생각하면 그들이 하는 일, 업무로의 행위가 죽음을 앞둔 환자들에게 남은 시간을 편안하게 보내고 임종을 맞을 수 있도록 돕는 의료체계를 일컷는다.

저자는  삶의 끝자락에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 특히 통증을 완화시켜 인간이 존엄성을 가지고 세상을 떠날 수 있도록 하는 돌봄의학이라고 설파한다.


인간은 혈기왕성하게 움직이는 시기에는 병에 걸리거나 아파도 극복해 낼 수 있는 여력이 나이들어 병에 걸린 사람들 보다는 월등히 높다.

하지만 나이듦이라는 건 죽음과 조우할 날이 상대적으로 가까워 지고 있다는 것이며 자기 자신의 관리를 부실하게 한다면 좀 더 빨리 우리는 죽어감으로 둔갑하게 되는 삶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100세 시대에 삶을 강조해도 모자랄 판에 죽음에 대한 이야기나 하고 있다고 혹자는 지청구를 날릴지도 모를 일이지만 시간은 쏜 살 같다.

쏜 살이란 쏘아진 화살과 같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화살이 얼마나 빨리 과녁을 향해 날아가는지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렇듯 시간은 빠르게 흐르고 우리는 빠르게 늙어간다는 의미이며 죽어감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가까워 오고 있다 생각하면 정신이 번쩍 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하듯 인간의 삶이자 생의 시간은 허투루 낭비할 시간들이 그리 많지 않다.

그렇게 산다면 어느 누군가는 100세 시대를 건강하게 누리며 천천히 죽어감을 만끽할 수 있는가 하면 자신은 초라하게 빠른 죽어감으로 스스로에게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주장한 죽음의 5단계를 실감하고 있을지모 모를 일이다.

저자는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삶에 대해 고민하고 반성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 생의 가치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꾀하게 하는 저자는 마지막이라는 죽음의 순간에 누릴 수 있는 좋은 마침표에 대한 물음표를 남기고 있다 생각된다.

존엄한 죽음, 그러한 죽음에 다다를 수 있도록 도움주는 완화의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출 수 있고 죽음에 대한 새로운 시선도 느껴볼 수 있어 좋았던 책이라 기억하고 싶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