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들처럼 - 진화생물학으로 밝혀내는 늙지 않음의 과학
스티븐 어스태드 지음, 김성훈 옮김 / 윌북 / 2022년 11월
평점 :

인간의 오랜 숙명과도 같은 늙지 않음 또는 장수에 대한 비결은 아직 인간의 과학으로도 풀어내지 못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근래들어 진화생물학계에서는 늙지 않음이나 장수에 관한 다양한 가설들을 제시하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노화는 인간만이 겪는 일은 아니지만 인간에게는 타 존재 보다 더욱 그 문제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는 모양이 드러나 보인다.
그렇다면 진화생물학계가 말하는 진화를 통해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노화 역시 그 안에서 해답을 찾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판단을 해보게 된다.
동물들처럼이라는 제목이 주는 뉘앙스가 마치 그들은 하는데 너희는 왜 못해? 라고 하는 투의 뉘앙스를 느끼게 되고 보니 동물들처럼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살피고 판단해 실행할 수 있을지를 알아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노화를 밝혀낼 진화생물학적 관점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동물들처럼" 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오래살고 있는 박쥐, 땅거북 투아타라, 두더쥐쥐, 코끼리, 성게, 관벌래, 여러 물고기 등 저자가 연구한 장수 동물들에 대해 그들의 삶을 들여다 본 내용을 담아 독자들에게 전한다.
단순히 오래 산다고만 다 좋은것도 아니고 어쩌면 오래사는것 보다 노화하지 않음이 종국에는 인간의 바램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갖게된다.
저자는 생물학자이자 노화학자라고 한다.
40년 가까이 동물들을 꼼꼼히 분석한 흥미로운 내용을 통해 그들이 가진 장수의 비결에 대한 추론적 사유를 만나볼 수 있다.
지구상에 살아온 과정만 놓고 보아도 최근이랄 수 있는 인간의 탄생과 그 역사는 우리가 생물학을 배운대로의 그것과 일치하지만 자연의 일부인 동물들의 삶과 그들의 수명에 대한 이야기는 인간보다 훨씬 이전에 형성된 생태계의 비밀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그들의 장수 비결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파헤쳐 우리의 노화와 장수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확인되지 않았지만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진실을 찾아내려는 노력의 흔적들이 보이는 생물학적 존재의 근원에 대한 이해를 갖는 일은 무척 재미있는 일이고 흥미로운 일이기도 하다.
장수동물들은 나름대로의 조건과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몸집이 크고 느리게 움직이며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지 않는 존재들이다.
이러한 장수동물의 장소조건을 통해 추론해 본다면 인간에게 발생하는 각종 암이나 고치기 어려운 질병들은 너무 많이 움직이고 가진 에너지를 소진시켜 얻게되는 자업자득의 결과가 아닐까 하는 판단도 해보게 된다.
자연의 존재들이 인간보다 더 오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는 무엇을 보고 인간의 노화와 장수를 꿈꿀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아야 한다.
자연을 닮든 아니면 동물들처럼 닮은 삶을 살아야 그러한 노화방지와 장수의 비결에 접근하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
기대수명 100년을 꿈꾸는 일이 나, 우리만의 기대라 말하기에는 현실적 상황이 점점 더 올라가고 잇는 추세라 할 수 있다.
매우 흥미롭고 재미를 느끼며 읽어낼 수 있는 책으로 독자들의 일독을 권장해 보고 싶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