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사로 본 중국왕조사 - 한 권으로 읽는 오천년 중국왕조사
이동연 지음 / 창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상 한국과 중국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주종의 관계처럼 보이는것이 과거의 진실이지만 사실 주종의 관계는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는것은 나와 우리 국민만의 생각일까 싶은 마음도 갖게된다.

중국 인민은 여전히 한국의 역사도 자국의 일부라 판단하는 동북공정의 확장판처럼 생각할지도 모를 일이다고 본다.

하지만 현대의 세계 질서는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로 패권을 다투고 있는 실정이고 우리는 근접 국가로의 중국의 영향력을 받지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중국을 알아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하겠고 깊이 넓게 알아야 한다는 욕심이 그들의 행위에 대한 반항? 의 근거처럼 여겨지는 때라 중국의 근본을 이해할 수 있는 사상사, 중국의 사상사로 본 중국을 이해할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사상사로 본 중국왕조사" 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사이기에 나날이 첨예한 영향력을 주고 받으며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체계가 아닌 동양문화의 원류로의 모습을 꿈꾸는 중국의 야욕을 그들이 어떠한 존재이고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모르면 당할 수 밖에 없다는 긴박한 마음을 담아 독자들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달리하게 하려는 의미를 전해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저자는 말한다. 한 나라의 역사를 알려면 역사를 움직인 동인, 즉 중화사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중화사상의 핵심은 유교와 도교의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유불선으로 이해하고 있는 우리와는 달리 유교와 도교의 사상은 음양의 변화와 이기에 대한 진수를 담고 있어 현재 양자물리학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판단을 해볼 수 있다.

중국의 왕조사를 역사를 따라 읽어나가는것도 의미있는 일이 될것이지만 음양론을 기초로 드러나는 사상의 맥을 짚어보는 일도 즐거운 사유가 될것이다.

서양과는 달리 동양만의 사관이나 사유를 파악해 보는 일은 어쩌면 자연스럽게 근본으로 회귀하게 되는 나, 우리의 마음을 열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유불선이라는 서로다른 의식과 존재감이 어떻게 동양적 사상의 진수가 될 수 있었는지를 살필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판단해 본다.

중국과 우리나라는 오천년 역사를 가진 나라로 명확히 그 실체를 가늠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우리의 역사는 잠시 미뤄두더라도 밝혀진 중국의 역사, 사상사를 통해 살펴보는 중국의 근본에 대한 이해는 그들의 삶이 이어온 왕조사로 대변된다.

천지개벽과 삼황오제로의 시작을 열고 하, 상나라,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 삼국시대, 16국과 남북조시대, 수, 당나라, 5대10국, 송, 원, 명, 청으로 이어지는 중국 왕조의 사상사에 얽힌 이야기들을 통해 그들의 속내가 무엇이고 어떤 모습을 갖추고자 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사상적 시원으로 살펴보는 중국왕조사, 피빛으로 얼룩진 그들의 모습에서 유불선의 의미를 찾아보는 기회는 흔하지 않은 소중한 기회임에 분명하다.

독자들의 중국사상사에 대한 만족할 만한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책으로 손색이 없겠다.


**네이버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