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빌런의 공식 - 욕하면서 끌리는 마성의 악당 만들기 ㅣ 어차피 작품은 캐릭터다 1
사샤 블랙 지음, 정지현 옮김 / 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작가, 꿈에나 그릴 법한 작가라는 존재가 될 수 있다면...이라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작가의 매력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작품을 쓰고 의미화 한다는데 있지 않을까 싶다.
작품은 영화든 소설이든 드라마든 항상 주인공과 주변인, 악인이 존재한다.
작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존재는 과연 누굴까? 하고 생각해 보면 주인공에 방점을 찍는 경우가 많은데 주인공에 버금가는 아니 오히려 주인공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악인의 존재야 말로 작품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대상이라 판단할 수 있다.
악인에 비해 주인공은 작품의 전체적인 의미로의 역할론에 부합 한다면 악인은 작품의 의미를 생성하는 역할에 가장 충실한 존재감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나쁜 인물에 끌리는것은 인간의 마음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자극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많은 작가들은 악인, 빌런을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 그런 빌런의 공식이 있는지, 있다면 과연 그 빌런의 공식은 무엇인지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 본다.
이 책 "빌런의 공식" 은 독자들의 마음을 휘어잡는 작품의 핵심은 바로 주인공이 아닌 주인공을 주인공 답게 만들어 주는 빌런의 존재를 어떻게 만들어 내고 탄탄한 캐릭터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살필 수 있는 작가 수업을 위한 내용으로 공식화된 빌런의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밝혀주는 책이다.
창작 역시 무턱대고 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라 정형화된 공식이 존재함을 생각하면 좀 더 쉽게 창작에 도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저자는 빌런을 작품의 플롯장치라고 밝힌다.
플롯은 스토리를 뜻하는 시간 순서의 줄거리와는 달리 외적이고 심리적인 질서 상태를 말하며 이는 인과관계에 기인한 사건의 이야기를 뜻한다.
그러한 사건화 장치를 플롯 장치라 생각하면 플롯을 전개하는 책 속의 모든 메커니즘이라는 정의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빌런이 그런 메커니즘적 역할론을 갖고 있다는 말이고 보면 13 Step 에 걸친 빌런 메이크 공식은 꼼꼼하게 읽고 적용해 만들어 볼 수 있는 빌런의 새로운 모습을 기대하게 한다.
작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빌런의 존재가 바로 주인공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인과관계를 갖고 있다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Step을 따라 만들어 질 빌런이 존재하지만 저자는 각 Step의 말미에 '생각해 볼 질문'을 두어 빌런 공식에 대한 의미를 환기 시키고 있다.
독자들의 사유에 속하는 다양한 빌런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런 빌런들을 만든다는 의미로 작가이기 보다 신이라는 입장으로 나, 우리 자신을 생각해 본다면 무척이나 흥미롭기도 하거니와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 빌런을 어떻게 만들고 싶은지를 생각해 보게 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고 판단한다.
빌런, 히어로, Side 캐릭터로 이어지는 시리즈물로의 책으로 어떤 작품이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완벽한 공식의 활용을 통해 자기만의 독특한 인물 캐릭터를 창조해 낼 수 있는 멋진 기회를 경험해 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책이다.
두고두고 함께 할 애착이 가는 책을 만난 것에 기쁨이 묻어난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