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의 마음결 도덕경
김영희 지음 / 아름다운비 / 2022년 10월
평점 :
도덕은 무엇인가? 노자의 도덕경을 우리는 단순히 도와 덕에 관한 철학적 담론쯤으로 생각하고 있는건 아닌지 반문해 볼 일이다.
도와 덕을 말하고 있지만 도와 덕의 근본을 이루는 마음이 도덕경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노자가 바로 수 천년 동안 우리에게 전해주려는 의미가 바로 도와 덕의 근원인 마음에 대한 이야기임을 생각하면 도덕경이 마음에서 빚어진 글이라 판단해도 틀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그렇다면 도덕경이 지금에 와서 왜 중요한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삶을 사는 우리로서는 삶의 근원이 바로 마음이라 할 수 있기에 마음을 도와 덕의 수단으로 변화 시킬 수 있기에 도덕경을 활용하는 것이다.
도덕경을 활용하면 인간과 사회 관계속 다양한 관계속에서 자유로운 삶을 살며, 대도시의 빌딩 숲 속에서도 대자연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결이란 성품의 바탕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로 도덕경이 마음의 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우리 삶에 영향자로서의 모습을 도덕경의 마음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자연의 마음결 도덕경" 은 도덕경에서 도는 진정한 자기 마음의 깨달음이고 자신만의 마음가짐을 뜻하는데 명확히 도의 실체를 규명할 수는 없다고 한다.
그렇게 판단해 본다면 1장 부터 출현하는 문장들을 직역해 이해하고자 하는 습관은 저으기 난관에 부닥칠 수 밖에 없다.
무명천지지시(無名天地之始)의 무명은 우리가 아는 이름이 없음을 뜻하는 무명이 아니라 도라는 것이 모호해서 이름을 붙이기 애매하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하니 직역으로 그 뜻을 이해한다면 매우 이상한 문장이 될 소지가 있다 하겠다.
의역수준의 해석이 이루어 져야만 비로소 도덕경의 결이 어떤 결인지를 살필 수 있고 우리의 삶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자연을 닮은 마음을 가지라는 소리를 종종 듣는데 과연 자연을 닮은 마음이란 어떤 마음일지 궁금해 진다.
우리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로 자연의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존재이다.
그런 우리가 자연의 변화를 통해 마음의 결을 가다듬고 도와 덕의 일치된 마음으로 삶을 살아갈 때 비로소 우리에게는 자기만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해 본다.
모름지기 인간의 삶은 늘 불안하기에 안정을 추구하고 편리함을 추구하며 살아가게 되는 현실을 쉬 만날 수 있다.
인간에게 가장 큰 명제중의 하나가 아닐 수 없는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하는 물음에 쉽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세상 아무리 높은 자리 있다 한들 명쾌히 그 답을 제시할 수 없다.
삶에서 왜라는 물음 보다는 어떻게 라는 물음이 더욱 현명한 삶의 방식이자 태도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삶의 방식이자 태도로의 우리 마음은 도와 덕의 일치된 모습이 안보이는 까닭에 독서와 학문을 통해 배우고 익혀 일상의 생활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것이 바로 우리의 마음이며 삶을 대하는 마음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이 그리 특별한 삶도 아니고 보면 진부함의 대명사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보편성 속에 존재하는 보석같은 일상의 핵심으로 나, 우리 자신의 마음을 위한 도덕경의 진솔한 이야기에 귀기울여 보자.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