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벤지 - 푸른 눈의 청소부
최문정 지음 / 창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부는 환경을 깨끗하게 만드는 일을 한다.

그런데 사람이 사는 사회의 청소부는 잡다한 일만 하는게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인 사람들의 악행에 대해 청소부의 역할을 한다면 과연 우리는 그러한 청소부를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일지 궁금해 진다.

물론 사람마다의 기준과 생각이 다르기에 호불호가 달라질 것임이 분명하지만 이는 악에 대한 청소부 차원으로만 생각해야할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아니 악에 대한 보복 역시 또다른 악행이라 생각하면 이는 악순환의 반복이 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우리 스스로 만들어 놓는 결과라 할 수 밖에 없다.

우리 사회에는 아직 법의 심판이나 감시망을 피해나가려 하는 악행을 일삼는 자들이 무척이나 많다.

그런 자들을 법의 이름으로? 어쨋든 심판자가 아닌 청소부의 역할론을 떠올리며 응징해 나가려는 인물에 대한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어벤지: 푸른 눈의 청소부" 는 인간의 악행에 대한 해결책의 근원적 고민을 하게 하며 푸른눈의 청소부를 통해 악을 대하는 대중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어쩌면 기득권자와 그렇지 못한 자들의 악순환적 싸움이 그러한 모습으로 표출되는건 아닐까 하는 의심도 든다.

인간으로서는 할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르거나, 촉법소년 등과 같은 처벌에 만족할 수 없는 존재들이나 제대로 처벌할 수 없는 존재들 까지 이 사회속에 함께 존재하고 있기에 우리는 우리의 안전과 행복한 삶을 위해 그들과의 거리두기를 생각할 수 밖에 없다고 여겨진다.

처음부터 인간 쓰레기는 아니었겠지만 사회적 환경에 의해 인간쓰레기가 되어버린 그들을 찾아 피해자를 대신해 복수해 주는 청소부는 과연 의인일까, 아니면 그 또한 악인의 일부일까?

소설 속에서는 푸른눈의 청소부에게 펜카페까지 생기고 법적인 위법 행동에 대해 수사를 하려하는 공권력에 수사 중단 진정서가 쌓이는가 하면 청소부를 잡는 형사에게 위해를 가하겠다는 협박까지 늘어나 사람들의 의식의 흐름이 어떠한지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된다.

아마도 현실적인 편향에 대한 기시감을 독자들에게 느끼게 해줄 요량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법의 테두리를 벗어난 푸른 눈의 청소부가 또하나의 악으로 치부된다면, 그렇다면 공식적인 위임을 통해 공권력을 사용할 수 있는 인물로 만든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번쩍 스쳐간다.

20대의 여자이며 푸른 눈을 가지고 있으며 사건을 해결할 수 없을듯한 갸날픈 몸매와 문신기술을 갖고 있으며 해박한 의학적 지식들을 통해서도 푸른눈의 청소부를 특정할 수 없는 모호함이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인간 사회에서 법의 중요성은 최상위 개념이기는 하지만 그것만이 만능이라 할 수는 없다.

법의 존폐가 있기 전에 인간성에 대한 지침이 법의 체계를 아우르고 있다 생각하면 양자택일이 아닌 양자득을 통해 악의 발본색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푸른눈의 청소부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는 계기를 통해 개과천선 할 수 있는 인간 존재를 만드는 인간 개조부가 될 청소부라면 더 없이 멋진 청소부가 되지 않을까 싶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