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머치머니 - 돈을 불리는 금융의 기법
권오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 뜨고도 코 베인다는 말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백주 대낮에, 아니 현실에서 눈 뜨고도 당할 수 밖에 없는 수법으로 부자들은 그들의 부를 불리고 있다는 사실을 우린 잘 모른다가 아니고 아예 모른다고 하는것이 올바른 이야기다.

Too Much Money는 과도한 돈, 즉 거부를 뜻하며 그들이 어떻게 부를 축적하고 유지하려 애쓰는지를 살필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면 적어도 눈 뜨고 코 베이는 당사자는 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아마도 부자가 아닌 많은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는 돈과 윤리, 도덕의 밀접한 관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지만 부자들은 그러한 의식 자체를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우칠 수 있다.

그런 부자들,거부들의 부자가 될 수 있었던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투머치머니" 는 이르만으로도 익히 그들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 짐 로저스, 찰리 멍거 등이 어떻게 부자가 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저자 자신의 주관적 견해를 배제하고 있어 자신의 돈을 불리거나 부자가 되기위한 방버론을 찾는 사람들에겐 한 줄기 빛? 과도 같은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풀어내고 있는 책이다.

자본주의 앞에 윤리나 도덕의 잦대를 대는것은 어설픈 사유이며 철저히 자본의 활용을 통한 경제시스템이 어떻게 부를 키우는지, 윤리와 도덕을 도외시 하며 뭇 사람들이 속아 넘어갈 수 있는 사탕발림으로 유혹하고 있는 실정을 이해하게 해준다.

이런 책도 처음이지만 내용도 처음이라 정말 어리둥절 하다는 느낌만이 놀라운 가슴을 짖누른다.

돈을 불리는 금융기법과 그것을 타당성있게 보이게 하는 사탕발림이 무려 10가지나 소개되고 있어 이게 가능한 것이구나 하는 생각을 처음 해 보아 낮설기만 하다.

또한 금융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낙수효과를 통한 부의 불평등 해소 정책들이 사실은 허울좋은 껍데기에 불과할 뿐이라는 사실들을 현실과 정책의 괴리감에서 심각하게 느껴본다.


자본주의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는 나, 우리에게 돈의 위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위새와 권력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그런 돈을 불리는 일은 누구나의 욕망과도 일치하며 돈을 불리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찾기에 이른다.

다만 사람들은 법과 도덕적 기준을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의 행위라면 거부들의 행위는 자본의  위세 앞에 움츠러든 법과 도덕의 틈새와 뒷통수를 쳐 부의 축적을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되면 우리의 행위가 합리적이되 모자란 방법이며 거부들의 방법을 쫒아 부도덕과 불법적 방법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민주시민으로의 딜레마에 빠질 위험도 상존한다 할 수 있다.

저자는 그러하기에 모두가 돈을 잘 벌어서 다 같이 잘살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하고 그것이 무엇 보다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어 의미심장 하게 느껴진다.

저자의 주장이 옳다는 생각이 들지만 윤리적, 도덕적 의식을 팽개친 그들에게 거는 주문이 턱없이 약하다는, 또한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경제시스템의 재차 강조는 뚜렷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생각에 다다르게 된다.

놀라운 거부들의 돈을 불리는 방법들을 알 수 있어 좋았고 그에대한 대응은 미온적이라 아쉬움이 남는 시간이었음을 밝혀본다.



** 출판사 인물과 사상사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