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플라스틱을 먹었습니다 - 환경과학자가 경고하는 화학물질의 위험
롤프 할든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문화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경, 지구는 온전히 자연 그대로의 환경이었음을 깨닫는다.

어쩌면 지구 탄생 이후의 최대 난적이랄 수 있는 고민은 인간의 탄생과 함께 환경파괴에 대한 고민이 지구 자체의 고민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지구상에서 생존하고 있는 모든 생명체의 근간을 뒤흔드는 커다란 명제이기도 하지만 쉽게 바꿀 수 있는 문제도 아니기에 지구를 위한다는 가소로운 의미를 가진채 횡보하는 인간에게는 멸종에 대한 경고나 다름없는 진실의 문을 마주해 어떤 생각과 행동을 실천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 갈지를 시험하게 한다.

바로 그 환경이 우리를 살리게도 죽게도 만드

는 조건이고 보면 인간의 자만에 섞인 외침은 한낫 기침소리 처럼 처량하기 그지 없다.

지구상의 위태로운 환경에 대한 무수한 보고들이 존재한다.

그 많은 연구와 보고들이 우리의 마음에 닿아 경각심을 낳고 새로운 환경 운동의 시발점이 되길 소원해 본다.

환경 파괴의 주범이면서도 아직 우리의 의식 속에 심각성의 경고음을 인지하지 못한 플라스틱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오늘도 플라스틱을 먹었습니다" 는 인간의 편리와 효율을 따지는 삶이 만들어낸 문명의 이기들인 플라스틱과 독성물질들에 대한 이야기로 지면을 채우고 있지만 환경보호 차원에서의 플라스틱 재활용에 대해서는 교묘하게 조장된 근거없는 믿음이 자리하고 있다며 우리의 무지에 대한 날선 경고를 하고 있다.

DDT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제의 하나이다.

처음 발견 당시에는 다양한 해충들을 죽이는 획기적인 살충제로, 인간에게 피해가 없다는 주장과 증명이 있어 노벨상 수상까지도 있었지만 그 효과의 강력함과 오랜 지속성과 누적되어 대를 이어 피해를 준다는 사실에서 더이상의 사용은 금지되기에 이르렀다.

결국 농약의 일종인 DDT도 먹이사슬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조건이며 또다른 플라스틱 역시 같은 조건의 대상이라는 점을 우리는 간과하고 있다.

인간은 지구상의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포진해 있는 존재이다.

그런 포식자의 편리와 효율을 위한 지구상의 환경은 인간의 마음 먹음에 따라 재편되고 파괴되었다.

기후변화와 환경파괴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인간의 지난했던 삶에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했던 일들을 겪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한 근거가 되었다.


그렇다. 지구의 주인은 우리가 아니라 자연이다.

자연은 인간의 사고 이상의 범위와 역할을 한다.

그런 자연 앞에 인간의 오만과 자만함이 스스로를 몰락으로 몰아가는 모습을 비추고 있음을 깨닫지 못하고 있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어쩌면 우리는 시계 바늘을 거꾸로 돌려 원시나 근대시대로의 회귀를 꿈꾸어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수 많은 화학제품과 맠품들에 둘러쌓인 인간의 삶이 지속가능한 지구와 호흡을 맞추며 함께 걸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이 진정 아름다운 봄으로 환골탈퇴하게 되려면 나, 우리는 과연 지금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곱씹어 보지 않을 수가 없다.

목말라 먹는 시원한 생수 한 병에도 인간 신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들이 녹아 있는점을 생각하면 스스로 삶을 옥죄는 바보짖을 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가장 큰 환경문제에 대한 이야기에 모두의 시선과 생각이 멈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해답을 찾기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때임을 절실하게 느껴본다.


**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