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반도체 지정학 - 21세기 지정학 리스크 속 어떻게 반도체 초강국이 될 것인가
오타 야스히코 지음, 임재덕 옮김, 강유종 감수 / 성안당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산업에 있어 반도체는 그야말로 산업의 쌀 이상이라 판단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반도체는 미국과 중국의 힘의 대결이 펼쳐지는 근원이 되고 있으며 전세계 산업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존재가 되고 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을 좌우하는 TSMC, 삼성, 인텔, 글로벌파운드리스의 반도체동맹 관계를 통해 중국의 반도채 굴기를 무산키실 수 있을지 세계의 시각은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은 이제 공장을 넘어 세계를 이끌어 가는 핵심 주축이 되고자 하는 선언을 굴기(崛起)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미국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지만 세계를 지배하고자 하는 야욕이 담겨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도체 지정학은 미·일 반도체협정 및 반도체 동맹 관계에서의 한국과 일본, 미국과의 첨예한 관계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며 가깝고도 먼 나라인 일본과 한국은 서로의 강점을 통해 윈윈할 수 있는 반도체 패권의 시나리오와 2030년까지의 반도체 산업의 전략에 대해 소개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2030 반도체 지정학" 은 세계 반도체 시장의 경쟁과 긴장 관계에 대한 조명을 다루고 있다.

이는 반도체 패권이 세계를 움직이는데 효과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며 반도체 패권전쟁에 적극적인 행동을 보이는 미국과 중국, 일본과 독일, 유럽연합과 한국 등의 첨예한 반도체 전략에 대해 살펴볼 수 있어 현실 세계 최고의 물밑 전쟁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된다.

일본정부의 한국에 대한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3개 품목은 전략물자로의 위험이라 말했지만 대한민국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생산에 대한 정치적 규제라 할 수 있는 일이었는가 하면 세계 반도체 산업에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들이 그저 우연으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도 작위적이고 미심적은 냄새가 난다고 볼 수 있다.

반도체 소재의 수출 규제는 일본이 세계를 향해 열어버린 판도라의 상자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반도체 소재를 무기화 하고 그것을 강제화 하려는 힘을 드러내는 일이다.

모든 관계에는 작용과 반작용의 힘이 작용한다.

힘을 적용 시켰다면 그 힘이 자신에게 돌아 올 상황도 생각해야 하지만 거기까지는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우매함을 드러내는 모습이 아닐까 싶다.

이렇게 정치적,군사적으로 반도체 산업을 이용하는 일뿐만 아니라 국제정치, 국제경제, 자국의 발전에 따른 계산기를 두드리며 세계 각국은 반도체 패권의 전쟁에 돌입하고 있다.


자고 나면 반도체에 관한 뉴스가 TV 화면을 지속적으로 채우고 있다.

저자는 21세기 지정학 리스크 속에 각국의 반도체 초강국으로의 도약을 전략적으로 펼치고 있는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미 세계 최강이라 할 수 있는 미국과 그 아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중국과의 패권 경쟁은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도 한치의 양보 없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패권 전쟁에 요동치는 반도체 지정학의 위험수위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무기화까지도 생각하게 되는 반도체 패권을 향한 미국의 반도체 동맹은 생존을 위한 몸부림에 다름이 아니고 중국 역시 마찬가지 이고 보면 그 과정과 결과를 지켜 보는 시간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으로의 가치를 보여준다 할 수 있다.

생존 전략으로의 반도체 지정학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현실의 반도체 지정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최적의 도서라 지칭할 수 있어 반도체 산업 뿐만이 아니라 투자 지침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해 본다.


** 네이버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