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잡지 -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진경환 지음 / 소소의책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분적 제약이 많았던 조선시대에 잡지라니 가당치도 않은 일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하지만 혹시라도 내가 무지한것이라면 더이상의 변명이 불가하다는 판단에
새롭게 발간된 조선의 잡지를 신비로운 마음으로 읽어본다.
잡지라는 존재의 성격이 뭇 사람들의 취미나 호기심을 부추기거나 채우는 정도의
수준일 것으로 판단해 보면 조선 시대의 사람들의 심리적 기호를 채워주는 도구로서의
잡지는 중인이거나 양반가의 전유물처럼 그 존재가치가 만만치 않았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 "조선의 잡지"는 조선 최초의 세시풍속지 "경도잡지"의 풍속편을 세상에 드러내는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19개 항목의 소재들은 그시절 우리네 삶과 흔적과 생활상을 고스란히 담아 보여주는
거울과도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론 더 많은 자료들이나 사료들이 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의 다양한 문화들이
달라질 수도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조선의 잡지를 통해 알아보는 조선사회의 참모습을
바라보는 것도 흔하지 않은 일중의 하나임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역사는 큰 흐름만으로 익힐 수 없다.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활이 담긴 문화를 통해 참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것이며
그러한 우리의 지난 역사를 살피고 배우는 일은 미래를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데 무척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문화라고 지칭되는 우리의 삶과 생활 곳곳에 켜켜이 쌓인 자그마한것도 모두 지식으로
지혜로 변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오늘을 통해 조선의 잡지를 읽고 만나는
것은 오늘과 내일을 위한 우리의 책임이기도 하다는 판단이 든다.


유난히 책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나로서는 조선의 잡지에서 만난 서재에 사는 네 친구에
마음이 홀딱 빠져 버렸다.
문방사우라고 하던가, 붓 종이, 먹, 벼루에 관한 이야기들로 족제비 꼬리털, 매미날개,
시전지, 청자연과 오석연 벼루, 청자연적 등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이들의 가장 절친한
친구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들을 마주하며 시대는 달라졌지만 여전히 글을 쓰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필기구와 같은 것들에 관심이 모아지기도 한다.


시대적 단면들을 확인하고 그 시대 사람들의 사유와 삶에 대한 강인한 의지를 읽어
낼 수 있는 조선의 잡지, 귀중한 책으로 두고두고 읽어야 할 대상으로 자리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