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잡지 -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진경환 지음 / 소소의책 / 2018년 7월
평점 :
신분적 제약이 많았던 조선시대에 잡지라니 가당치도 않은 일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하지만 혹시라도 내가 무지한것이라면 더이상의 변명이 불가하다는 판단에
새롭게 발간된 조선의 잡지를 신비로운 마음으로 읽어본다.
잡지라는 존재의 성격이 뭇 사람들의 취미나 호기심을 부추기거나 채우는 정도의
수준일 것으로 판단해 보면 조선 시대의 사람들의 심리적 기호를 채워주는 도구로서의
잡지는 중인이거나 양반가의 전유물처럼 그 존재가치가 만만치 않았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 "조선의 잡지"는 조선 최초의 세시풍속지 "경도잡지"의 풍속편을 세상에 드러내는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19개 항목의 소재들은 그시절 우리네 삶과 흔적과 생활상을 고스란히 담아 보여주는
거울과도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론 더 많은 자료들이나 사료들이 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의 다양한 문화들이
달라질 수도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조선의 잡지를 통해 알아보는 조선사회의 참모습을
바라보는 것도 흔하지 않은 일중의 하나임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역사는 큰 흐름만으로 익힐 수 없다.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활이 담긴 문화를 통해 참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것이며
그러한 우리의 지난 역사를 살피고 배우는 일은 미래를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데 무척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문화라고 지칭되는 우리의 삶과 생활 곳곳에 켜켜이 쌓인 자그마한것도 모두 지식으로
지혜로 변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오늘을 통해 조선의 잡지를 읽고 만나는
것은 오늘과 내일을 위한 우리의 책임이기도 하다는 판단이 든다.
유난히 책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나로서는 조선의 잡지에서 만난 서재에 사는 네 친구에
마음이 홀딱 빠져 버렸다.
문방사우라고 하던가, 붓 종이, 먹, 벼루에 관한 이야기들로 족제비 꼬리털, 매미날개,
시전지, 청자연과 오석연 벼루, 청자연적 등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이들의 가장 절친한
친구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들을 마주하며 시대는 달라졌지만 여전히 글을 쓰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필기구와 같은 것들에 관심이 모아지기도 한다.
시대적 단면들을 확인하고 그 시대 사람들의 사유와 삶에 대한 강인한 의지를 읽어
낼 수 있는 조선의 잡지, 귀중한 책으로 두고두고 읽어야 할 대상으로 자리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