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 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새로운 도시의 미래
앤서니 타운센드 지음, 도시이론연구모임 옮김 / Mid(엠아이디)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변화는 세계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듯
하다.
과거의 대한민국은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후진국의 면모를 벗어날 수 없었지만
현대의 대한민국은 세계인들의 시선을 끌어 모으는 중요하고도 미래를 생각할 수
있을때 만날 수 있는 현상적 실물들을 가장 빨리, 가장 먼저 접해 볼 수 있는 국가로
거듭나고 있다는 점은 양날의 검처럼 장,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오늘을 통해 다양한 학술적 구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책 " 스마트 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는 첨단 IT 산업과 결합된 도시, 즉 스마트
시티에 대한 저자의 연구와 분석의 바탕이 대한민국의 인천 송도 스마트 시티라는
점을 알수 있게 한다.
더불어 우리가 추진한 스마트 시티의 가능성에 대한 것보다 인간의 삶의 지평이 될 수
있는 유토피아적 방향을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나름대로의 분석을 통해 국제사회의
상징적 스마트 시티에 대해 결론을 내리고 있는 책이다.


미래사회를 가름하는 커다란 획은 IT, 정보기술이다.
지금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대부분의 정보기술과 IT 기술의 현상이 저자의 최근 까지의
생활이며 우리가 느끼듯 그가 느낀 염려와 불편에 대한 의식들이 IT를 활용한 도시의
활성화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참고 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10장으로 구성된 내용은 스마트 도시화의 길에 대한 시작으로 도시의 미래 지향적
가치라 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 픽쳐를 조명하며 스마트 시티에 대한 세계적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다양성에 무게를 둔 내용과 실험적 세상의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내용들을 알려주고 있다.


양날의 검처럼 좋은 것이 있다면 나쁜 것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어떤 상황, 어떤 사유
에서도 깨달았으면 좋겠다.
이런 관점은 세상을 살아가는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깨달음이 될 수도 있다.


스마트 시티의 불편함에 대한 버그, 회선의 장애, 누군가로 부터의 감시와 감청, 그리고
우리가 생각할 수 없는 일에 대한 일들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불편한 사유들이 분명
존재하고 우리는 또 그런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편을
제시할것이라 믿는다.
인간의 삶은 반복된 삶이자 변화를 위한 삶이기도 하다.
스마트 시티, 인간을 위한 최적화된 도시를 위해 과연 우리는 무엇을 먼저 생각해야
할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