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부터 조선까지 한반도의 주택과 가구에 얽힌 주거문화와 그 사회경제적 변천을 총망라하는 풀컬러 도판의 책이 일본에서 얼마 전 발간(3.20)


저자는 일본의 가구도구실내사학회회장을 역임하고 50년 넘게 일본생활문화사를 연구해온 고이즈미 가즈코(小泉和子) 선생. 일본주거문화를 이해하려면 동아시아문화를 이해해야하기 때문이라고


17세기 조선상류층에서 온돌이 채택된 이유는 중소지주나 지방사대부들이 중앙관료로 진출하게 되면서부터라고. 말하자면 탑다운이 아닌 바텀업 방식


"한일 모두 신발을 벗고 들어가며 바닥에 앉는 생활양식은 같지만 결정적인 차이는 외부시선을 중시하느냐, 내부시선을 중시하느냐에 있다. 한옥은 외부시선을 일본 주택은 내부시선을 중시한다"고 말하며 "건축에 대한 기본 자세 자체가 정반대"라고 강조


가격은 4만4천엔입니다. 네, "엔"이요. 44만원. 91세의 혼과 노고가 담긴 424페이지의 풀컬러책이니 아주 싸지요. 개인구매에 많은 고민이 필요하겠지만


도서관! 사주세요!


한옥의 상류 주택은 곡선미가 돋보이는 지붕, 기둥 위의 복잡한 결구 구조, 거북이 등껍질 무늬, 죽살무늬, 卍(만)자 등 다양한 디자인의 창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등 외관 장식에 힘을 쏟으며 집 자체가 하나의 예술 작품처럼 보이게 한다. 반면 내부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벽으로만 둘러싸인 단순한 구조로 붙박이장이 따로 없기 때문에 가구가 실용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고 따라서 가구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높아졌다.


반면 일본주택의 경우 교토의 니조성은 “현관 입구만 카라하후(唐破風) 지붕으로 화려할 뿐 외벽은 마이라도(舞良戸)만 나란히 있을 뿐이며 창호는 뒷면이 드러나 있어 매우 무뚝뚝해 보인다”고 평가. 하지만 실내는 도코노마, 쇼인, 후스마 그림, 화려한 목조 난간 등으로 꾸며져 있어 실내만으로도 하나의 완결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본 주택은 실내에만 집중되어 있어 외부 시선에 별 관심이 없다”고 본다. 이어서 일본 주택 내부를 장식하는 도코노마, 쇼인, 후스마, 붙박이장 등은 원래 독립된 가구였지만 건축에 통합되면서 ‘가구의 빌트인’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가구 자체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https://artexhibition.jp/topics/news/20250417-AEJ2630698/


https://www.amazon.co.jp/%E6%9C%9D%E9%AE%AE%E5%8D%8A%E5%B3%B6%E3%81%AE%E4%BD%8F%E3%81%BE%E3%81%84%E3%81%A8%E5%AE%B6%E5%85%B7%E3%81%AE%E6%AD%B4%E5%8F%B2-%E5%B0%8F%E6%B3%89%E5%92%8C%E5%AD%90/dp/48055099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장 아름다운 조약돌 Dear 그림책
질 바움 지음, 요안나 콘세이요 그림, 정혜경 옮김 / 사계절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기도박물관과 백남준아트센터에 다녀왔다.

20세기 초 대한제국 구대신이었던 김가진의 서예전과 20세기 말 비디오아트를 창시한 전지적백남준시점전이다. 위치는 바로 곁에 있는 전시지만 둘 다 즐기는 사람은 흔치 않다. 마치 상영관에 일본애니와 공포서스펜스라는 관객이 섞이기 힘든 장르영화를 함께 보는 것과 같다.


둘 다 메시지가 정확하고 전시구성이 훌륭해서 영화보는 마냥 각 2시간씩 보냈다.


나는 서예전에 해석이 베풀어져있으면 아주 꼼꼼히 보는 편이다. 한문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다. 서서 읽는 책과 같다. 사서삼경을 일부라도 암송으로 떼고 고문진보 정도 읽을 수 있으면 어느정도 읽을 수 있다. 서간, 간찰, 입안 같은 전문문서는 정말 어려워서 더 공부를 요한다. 해석을 봐도 특유의 표현때문에 어렵다.


서양철학은 플라톤의 주석일 뿐이라, 고 화이트헤드는 말했다. 같은 의미에서 미디어 아트는 백남준의 주석이다. 이미 나올 수 있는 모든 아이디어를 비저너리로서 세팅했고 시대를 너무 앞서간 나머지 후대가 뒤따라올 때까지 기다리지 못했다. 로마의 제도와 도시와 도로가 이후 유럽의 기반이 되었듯, 아무리 모든 언어를 한자화시키는 중국이라도 코딩만큼은 영어로 하듯, 백남준을 경유하지 않고 미디어를 논할 수 없다. 그는 신디사이저가 일방향의 비디오를 넘어 쌍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기라 했다.

(이후 지속)




용인기흥 백남준아트센터

1층 <전지적백남준시점>은 백남준작품으로 내년 26년 2월까지

2층 <랜덤액세스프로젝트4.0>은 백남준의 정신과 공명하는 현대작가 8명의 단체전으로 올해 6월까지

2층은 이미 2월 말에 와서 봤는데 더 나아졌다

얀투 작가의 배송로봇은 당시에는 안 움직였는데 지금은 잘 작동하고

정혜선, 육성민의 필라코뮤니타스에선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동물행동연구소의 인터뷰와 용 관련 영상을 하나 더 볼 수 있게됐다

동물에 체중5% 미만의 태그를 달아 데이터로 커뮤니케이션하여 동물의 행동패턴을 잘 이해하자는 취지. 영상은 동물집단행동 재난예측모델을 수익화한 픽션이다

한우리 작가의 영사기 작품은 작년 10월에

이태원 아마도예술공간 개인전 루프에서 봤다

이번까지 3번 본 셈이다

고요손 작가는 같은 작품은 아니지만

올해 2월 종로5가 두산아트갤러리에서 봤다

열선 들어가서 따뜻한 무릎 조각을 전시했다

소규모 갤러리라도 부지런히 다녀야하는 이유다

더 큰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초등 교과 어휘 맛있는 공부 67
한날 지음 / 파란정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자 뉴욕타임즈에서는 반 고흐 사망 직전 최후 작품 나무고동tree roots에 얽힌 프랑스 마을의 갈등을 소개한다


아마 충동적으로 죽었기 때문이겠지만 반 고흐가 죽기 전에 남긴 마지막 작품의 년도와 위치가 특정되지 않았었는데 2020년에 이르러 프랑스 파리근교의 예술마을 우베르 쉬르 우아즈(Auvers-sur-Oise)의 한 언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사는 마을과 사유지 소유주 간에 법적갈등, 사유재산권과 문화유산의 공공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내가 조금 더 인상깊었던 것은 디테일에 대한 천착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나무뿌리는 팬들이 '코끼리'라 부르는 블랙 로커스트(Black Locust) 나무의 일부다.


전문가들은 반 고흐가 그린 생전 최후 작품이 이 나무뿌리를 그렸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검증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을 것이다.


아래 사진에서처럼 그림에서 보이는 뿌리 하나를 특정하기 위해 온갖 로케를 돌아다녔을 것이다


미술사박사와 학예사의 전문성이 존중받아야하는 이유다. 미세한 한 분야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진다. 설령 그 의미를 아무도 이해못할지라도


유럽사도 자국사연구는 어렵다. 장기간의 훈련을 요한다


해외에 대중화된 유럽사는 유럽 내부에서 연구하는 자국사에 비하면 열화된, 다운그레이드된 버전이다. 로컬 입맛에 개량된 음식과 같다.


제대로 유럽에서 유럽사를 하려면 어마무시한 디테일을 습득해야한다. 그들의 학술적 논의에 핀셋을 꽃고 내 주장 한 숟가락 얻는 것은 매우 쉽지 않다. 라틴어부터 시작해 국제학술용 영어외에도 독일어 프랑스어 메이저 언어는 자유자재로 해야하고 온갖 건축장식명, 족보, 왕족가계도, 교우관계, 경제사, 법제사 알아야할 것 투성이다. 예를 들어 옛날에 Dumbarton oaks 중세사 학술지를 도서관에 신청했었는데 도저히 몇 페이지를 읽을 수조차 없었다


한국사도 마찬가지다. 시험으로 배우는 한국사와 전문한국사연구서는 큰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고문서, 산송, 예송논쟁 등. 한문부터 시작해서 장기간의 훈련을 요한다. 그 결과 대중과 소통하기 어려워져버린다. 한국말을 하고 있는데 도통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어져 버리고 상아탑 속 그들만의 리그가 된다. 그 괴리마저 연구자의 고뇌의 한 부분일지니



https://www.nytimes.com/2025/04/15/world/europe/van-gogh-tree-roots-france-auvers-sur-oise.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