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부터 조선까지 한반도의 주택과 가구에 얽힌 주거문화와 그 사회경제적 변천을 총망라하는 풀컬러 도판의 책이 일본에서 얼마 전 발간(3.20)


저자는 일본의 가구도구실내사학회회장을 역임하고 50년 넘게 일본생활문화사를 연구해온 고이즈미 가즈코(小泉和子) 선생. 일본주거문화를 이해하려면 동아시아문화를 이해해야하기 때문이라고


17세기 조선상류층에서 온돌이 채택된 이유는 중소지주나 지방사대부들이 중앙관료로 진출하게 되면서부터라고. 말하자면 탑다운이 아닌 바텀업 방식


"한일 모두 신발을 벗고 들어가며 바닥에 앉는 생활양식은 같지만 결정적인 차이는 외부시선을 중시하느냐, 내부시선을 중시하느냐에 있다. 한옥은 외부시선을 일본 주택은 내부시선을 중시한다"고 말하며 "건축에 대한 기본 자세 자체가 정반대"라고 강조


가격은 4만4천엔입니다. 네, "엔"이요. 44만원. 91세의 혼과 노고가 담긴 424페이지의 풀컬러책이니 아주 싸지요. 개인구매에 많은 고민이 필요하겠지만


도서관! 사주세요!


한옥의 상류 주택은 곡선미가 돋보이는 지붕, 기둥 위의 복잡한 결구 구조, 거북이 등껍질 무늬, 죽살무늬, 卍(만)자 등 다양한 디자인의 창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등 외관 장식에 힘을 쏟으며 집 자체가 하나의 예술 작품처럼 보이게 한다. 반면 내부는 별다른 장식이 없고 벽으로만 둘러싸인 단순한 구조로 붙박이장이 따로 없기 때문에 가구가 실용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고 따라서 가구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높아졌다.


반면 일본주택의 경우 교토의 니조성은 “현관 입구만 카라하후(唐破風) 지붕으로 화려할 뿐 외벽은 마이라도(舞良戸)만 나란히 있을 뿐이며 창호는 뒷면이 드러나 있어 매우 무뚝뚝해 보인다”고 평가. 하지만 실내는 도코노마, 쇼인, 후스마 그림, 화려한 목조 난간 등으로 꾸며져 있어 실내만으로도 하나의 완결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본 주택은 실내에만 집중되어 있어 외부 시선에 별 관심이 없다”고 본다. 이어서 일본 주택 내부를 장식하는 도코노마, 쇼인, 후스마, 붙박이장 등은 원래 독립된 가구였지만 건축에 통합되면서 ‘가구의 빌트인’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가구 자체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https://artexhibition.jp/topics/news/20250417-AEJ2630698/


https://www.amazon.co.jp/%E6%9C%9D%E9%AE%AE%E5%8D%8A%E5%B3%B6%E3%81%AE%E4%BD%8F%E3%81%BE%E3%81%84%E3%81%A8%E5%AE%B6%E5%85%B7%E3%81%AE%E6%AD%B4%E5%8F%B2-%E5%B0%8F%E6%B3%89%E5%92%8C%E5%AD%90/dp/48055099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