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종교의 외투를 입은 정치 스릴러
2. 흑인은 성추문으로 백인은 매관매직, 탐욕과 무능력으로 물러선다. 마지막이 압권
3. 화면 전체에 글자를 표시하는 게 몇 년전부터 트렌드다.
애플TV 드라마 <파친코>에서 오사카 등 도시 표시할 때,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가여운 것들>에서도 파리 등 도시표시할 때,그외에도 굉장히 여러 영화에서 이런 장면을 연출했다.
4. 감각적이 영화연출에 편집도 좋고 각본도 잘 썼다. 영어 대사 전달력과 리듬감을 동시에 구비하게 정말 잘 썼다.
5. 이탈리아어, 영어, 중세라틴어, 스페인어가 맥락에 따라 아주 훌륭하게 다듬어져 쓰인다.
6. 전반부에서 테데스코 추기경이 교회의 보편성에 대해 말하는 로렌스 추기경에게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영어권, 이탈리아, 프랑스, 남미, 아프리카 등 언어와 문화가 통하는 사람들끼리 앉았다고 말하는 부분이 흥미롭다.
7. 계속 반복되는 라틴어 기도문은 거의 외울 정도다.
Testor Christum Dominum, qui me iudicaturus est, me eum eligere, quem secundum Deum iudico eligi debere.
테스토르 크리스툼 도미눔 쿠이 메 유디카투루스 에스트 메 에움 엘리제레 쿠엠 세쿤둠 데움 유디코 엘리지 데베레
여기서 g를 연음화해서 ㅈ로 발음하는 이유는 중세 교회 라틴어라서다. 키케로 등 고전 라틴어는 경음으로 ㄱ로 발음한다.
8. 나무위키 한글 번역은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저의 주님이시며 심판자이신 그리스도님, 이 표가 하느님 뜻을 헤아려 제가 뽑혀 마땅하다고 생각한 사람에게 행사되나이다.
그러나 라틴어 직역하면 조금 더 이런 말에 가깝다.
나를 심판하실 주님이신 그리스도를 증인으로 모시고, 내가 하느님 뜻에 따라 마땅히 선택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이를 내가 선택함을 증언합니다.
1) Testor Christum Dominum은 주절이다.
주어+동사는 테스토르= 증언한다(I call, I testify, I call as witness)라는 뜻이다. deponent이태동사로, 뜻은 능동인데 모습은 수동인 동사다.
Testor Christum Dominum
S V O
주님이신 그리스도를 증인으로 모시고
I call Christ the Lord
I bear witness to Christ the Lord
Christ 그리스도는 구원자라는 뜻이고
Dominus 주인은 말 그대로다.
두 개가 동격이다. 주인이신 그리스도, 주인=그리스도
2) Christum Dominum을 수식하는 관계사절이다.
qui me iudicaturus est
qui 는 주인이신 그리스도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주격 남성단수)
me 는 대격 단수로 목적어 '나를'
iudicaturus est 는 미래 능동 분사 남성 단수에 esse(be 동사)가 붙어 Future active periphrastic다. 확실히 미래가 아니고 다가올 미래의 느낌이다. is to judge, is going to judge.
미래 능동 분사는 과거 수동 분사 iudicatum에 um떼고 urus붙인다.
합쳐서 who is going to judge me
나를 심판하실 (주님이신 그리스도님을)
(will judge가 아니다. 심판할 것이다, 가 아니라, 미래보다는 조금 더 앞선 전미래의 느낌이고, 그 느낌을 주면서 당위성도 부여한다. 심판하게 되실)
3) 간접문으로 목적어-부정사 구조다. 간접문은 고전라틴어에서 더 많이 철저하게 배우지만 중세 라틴어에 없는게 아니다.
me eum eligere
~~하는 이를(그를) 내가 선택함을 (증언합니다.)
여기서 대격이 두 번 나오는데 하나는 주어고, 다른 하나는 목적어이며, 간접문에서 대격+부정사로 주어+동사를 나타낸다.
me → 대격 주어로, 나를 아니고 나는이다. 형태는 목적어이지만, 문법구조상 그렇게 표현하는 것이다.
eum → 대격 목적어, 그를 -> 여기서는 quem의 수식을 받아 ~하는 이를
eligere → 현재 능동 부정사. 선택하다.
that I choose him.
내가 그를 선택한다는 것을
내가 그를 선택함을
~하는 이를 내가 선택함을
4) 관계사절
quem secundum Deum iudico eligi debere
quem → 대격 남성 단수, eum을 수식한다. ~하는 그, ~하는 이
secundum Deum → 합쳐서 주님의 뜻에 따라, according to God이다. secundum 다음에는 대격이다.
iudico → 1인칭 단수 현재 능동 직설 내가 판단한다. I judge
eligi → 현재 수동 부정사 선택되어야 한다.
debere → 현재 능동 부정사 마땅히
->여기서 이중 부정사다. 주동사 iudico가 부정사 debere를 지배하고, debere는 다시 부정사 eligi를 취한다.
유디코 iudico 내가 판단한다 + 데베레 debere 마땅히 + 엘리지 eligi 선택되어야한다
->내가 마땅히 선택되어야한다고 판단하는
whom I judge ought to be chosen according to God.
(하느님 뜻에 따라) 내가 마땅히 선택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5) 최종적으로 이렇게 되는데, 우리말의 흐름을 고려해 testor 증언하다를 두 번 써야 자연스럽다.
<Testor Christum Dominum,> (qui me iudicaturus est,)
<테스토르 크리스툼 도미눔> 쿠이 메 유디카투루스 에스트
(나를 심판하실) <주님이신 그리스도를 증인으로 모시고,>
(me eum eligere,) quem <secundum Deum> iudico (eligi debere.)
(메 에움 엘리제레) 쿠엠 <세쿤둠 데움> 유디코 (엘리지 데베레)
내가 <하느님 뜻에 따라> (마땅히 선택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이를 내가 선택함을) + 증언합니다.
I call Christ the Lord, who is going to judge me, to witness that I choose him whom I judge, according to God, ought to be chosen.
이 말의 속내는 투표권은 인간인 내가 선택하는데, 나는 하느님의 주권 아래에 있고, 내가 선택하는 사람은 하느님이 선택하실 법할 사람이라는 것이다.
하느님은 구원자이자 주인이다. 그 주인이자 구원자를 내 증인으로 삼는다. 그 분은 나를 심판하실 분이다. 나는 자발적으로 투표하는데, 하느님께서 선택하셔야 할 사람을 내가 선택한다. 이 선택과정을 하느님이 증언하신다.
그냥 천둥벌거숭이처럼 내 맘대로 투표한다는 게 아니다. 이후 나를 심판하게되실 주님이 있고, 그분을 구원자로 모시는 내가 있으니, 내 선택은 한편에서는 주님의 뜻을 대리하는 것이고, 한편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받지 않고 내 스스로 생각해서 자발적으로 의사표현하는 것이다.
이 점을 이해하면 왜 성추문의 아데예미 추기경 투표가 52표에서 9표로 줄어들었는지가 이해되고
이 점을 이해하면 왜 그 모든 봉쇄의 노력을 해서 외부 압력없이 투표하는지가 이해된다.
다만, 콘클라베의 목적은 영주, 귀족, 왕족의 정치적 압력을 피하려는 것이었는데 그런 압력을 피한다고해도
추기경 간의 정치싸움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아울러, 최신 기술로 전체를 도청불가능하게 막고해도, 밖에서 들어오는 정보라인이 로렌스추기경에게는 있다
정말 최선의 인물이 아니라, 그나마 나은 차악을 선택한다는 점에서 오늘날 정치 상황이 일부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