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5/03/27/FHXRDDCXCVBVLBERMKDSS7ZJT4/
오늘자 신문에 조선일보 백수진 기자가 다소 공격적인 타이틀을 달았다. 내용은 순한 맛이다.
제목과는 달리 감독으로서 기대가 된다는 내용이다. 어그로를 끌기 위해 달은 제목 같다.
배우로 5연속 흥행 실패한 하정우, 감독으로는 역전할까
2018년까지 주연을 맡은 영화로 누적 관객 1억명을 모은 배우 하정우는 코로나 이후 깊은 부진에 빠졌다. 2020년 개봉한 ‘클로젯’(127만명)부터 ‘비공식작전’(105만)·‘1947 보스톤’(102만)·‘하이재킹’(177만)·‘브로큰’(19만)까지 전부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했다. 비슷한 장르, 비슷한 캐릭터에 식상함을 느끼는 관객도 늘었다. 5연속 흥행 실패로 슬럼프에 빠진 배우 하정우가 이번엔 감독 하정우로 역전을 노린다.
하정우가 감독 겸 주연을 맡은 ‘로비’는 색깔이 뚜렷한 영화로 호불호는 갈릴 수 있지만, 적어도 식상하진 않다.
‘롤러코스터’(2013), ‘허삼관’(2015)에 이어 세 번째 연출작이다. 감독 데뷔작이었던 ‘롤러코스터’는 쉴 틈 없는 말장난과 맥락 없는 ‘병맛’ 개그로 명작과 망작이라는 평을 동시에 들었다. 12년 만에 나온 ‘로비’는 깔끔하게 정돈된 ‘롤러코스터’ 같다. B급 유머는 여전하지만, 산만함은 덜고 사회 풍자적인 메시지까지 담으면서 감독으로서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비중 있게 등장하는 캐릭터가 10명에 달한다. 하정우·김의성·이동휘·박병은·강말금·차주영·박해수 등 연기력을 인정받은 개성파 배우가 총출동한다.
영화 제작 환경과 상황이 바뀌어서 천만 관객 동원이 힘들어졌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클로젯은 못 봤지만, 나머지 4편: 비공식작전, 1947보스톤, 하이재킹, 브로큰은 다 봤다. 브로큰은 오랫동안 창고에 있던 영화라고 알고 있다. 일부 만듦새는 아쉬웠으나 연기가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1947보스톤이나 비공식작전 모두 5년, 10년 전이었다면 흥행했을 영화다. 모든 영화에서 하정우는 하정우다운 연기를 했다. 바뀐 것은 시장, 경제, 영화를 둘러싼 환경이다. 높아진 관객의 눈, 인건비 등 제작환경, OTT와의 경쟁 등.
2.
한국 영화에 관한 영문 저서 중 표지에 배우 하정우가 등장하는 책이 생각난다. 2020년작이다.
저자는 캐나다 밴쿠버 인근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의 교수로 이름은 달-용진이 아니라 진-달용이다.
언론정보학 배경으로 영화 분석에서도 작품 내부의 서사나 배우론보다는 영화 산업의 외적 환경에 초점을 맞춘다.
배우론을 가장 잘 쓴 책은 백은하배우연구소의 저작들이다. 배우론을 배우기 위해 영국에 1년(?) 석사까지 갔다온 것으로 알고 있다.
책의 주요 목표는 한국 영화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조망하는 데 있다.
대략 1990년대 이전의 내용은 간략하게 다루고 검열, FTA, 스크린쿼터제, 초국적 제작 환경, 웹툰 스토리텔링 등 외적 요소들이 영화 제작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영화를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 매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주되다. 이 시각은 장단점이 명확하다. 영화가 집단 예술이자 자본 집약적인 산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있는 분석틀이지만, 작품 분석은 전무하고 배우나 감독은 거의 퍼펫같이 그려진다.
단점과는 별도로 이 책에서 가장 이상한 점은 책 표지에 등장한 하정우가 정작 책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는 점. 뒤 색인index에 찾아봐도 없다.
표지 스틸 컷은 2007년 김진아 감독의 두 번째 사랑 (Never Forever)으로 하정우는 정자 기증자인 지하로 출연했던 초기작이다. 한미 자본 합작 영화이라는 데 의미를 부여하고 가져온 스틸컷인 것 같다. 저자가 이 영화를 보았을까 아니면 외적 정보가 더 중요했을까. OTT에서는 볼 수 없고, 이 영화를 보려면 DVD가 있는 한국영상자료원까지 가야한다.
표지와 내용의 괴리는 이 책이 영화의 내적 분석보다는 외적 환경을 다루는 데 집중했음을 방증하는 또 하나의 표지다.
3.
학고재
하정우 Never tell anybody outside the family
2024.10.16 - 2024.11.16

작년에 하정우 배우는 학고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내가 방문했을 때 우연히 살아있는 배우 자신이 출몰해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물론 나는 사람에는 관심이 없었고 작품에만 집중했다. 왜 사람들은 셀레브리티에 관심이 있을까? 몰려드는 사람들이 신기해서 사진을 찍어두었다.

재밌는 그림들이 있다. 배우, 감독뿐 아니라 화가로서도 재능이 있다. 어쨌든 작품을 끝까지 완성해서 전시회에 걸었다는 것은 칭찬받을 일이다.


구도도 특이하고 문양도 재밌고 열심히 그린 것 같은데, 의아한 것은 영어였다. 틀린 영어를 일부러 쓴 것일까?


government에는 n이 들어가고
enemies이지 enimies가 아니다
의도한 바가 아니라면 디테일은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