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미술관 <차원확장자: 시·이미지·악보·코드>전시가 어제 열렸다.
내일 개천절에도 열고 추석당일만 휴관이지만 반경 3km 이내에 들릴 수 있는 다른 갤러리가 없어서 벌처럼 날아서 정확히 쏘고 빠져야한다.
근처에 존재하는 다른 곳은 청담 화이트큐브 옆 호림미술관 신사분관이 아닌 신림본관과 서울대박물관 정도일까. 어쨌든 교내로 한 번 들어가면 쉽게 나오기 어렵다. 안에 박혀서 학식을 먹으며 연구에 몰두하기는 좋은 환경이다.
원래 동숭동 혜화역에 있던 서울대의 시위대를 제한하기 위해 골프장 개발부지이던 곳으로 이전했던 역사가 있다. 신림/서울대입구/낙성대역 어느 루트로 나와도 30분은 걸린다. 윗공대에서 관악산을 넘어 과천으로 빠지는 무병장수를 위한 전설의 출퇴근코스를 타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나마 미술관은 교문 앞에 있다.
1주일 남짓했던 지난 여름전시 굿모닝조지오웰과 비슷하다. 흥미로운 아이디어가 있다. 안 갈 수 없다. 그러나 관람시간은 짧게 끝나고 인스타사진용은 아니다
이상의 실험적 시
백남준의 텍스트 악보
구자명의 바이러스
김호남의 신호와 울림
김은형의 신화적 벽화
정수정의 회화
윤향로의 유사회화
기민정의 종이와 유리
전소정의 이상의 시 모티프 영상
코딩 구현 작품 등
이상은 100년은 빨리 존재한 이과계통 시인이다. 그의 시를 물리학적으로 분석한 논문이 나왔다. 건축, 수학, 물리를 통섭하는 그의 때 이른 생각을 식민지 지식인들이 쫓을 수 없었다.
백남준은 50년 빨리 존재한 선구자다. 전자 초고속도로와 디지털 정보통신 사회를 미리 대비시켰다.
구자명은 2024년 겨울 제24회 송은미술대상전에서 보았다. 미래적 작가다.
2025년 갤러리SP에서 한 화학식구조로 만든 냉매
2021년의 소프트웨어의 성장과 형태, 2020년의 분자생물학 모티프의 작품과 웹사이트 구조의 편집방법개발 같은 독특한 생각을 선보였다.
김호남은 기흥 백남준센터의 랜덤액세스에 출품한 메아리 같은 디지털 버퍼링 작업 모티프와 같은 작품으로 지연된 소리와 울림에 천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