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여행하는 대만, 중국인들은 지명과 미술관 설명의 한자만 대충 읽으며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물론 도쿄를 똥찡으로 발음하고 동쪽의 수도로 알아들어도 큰 무리가 없겠다. 아오모리도 칭린으로 발음하고 푸른 숲으로 이해해도 괜찮다. 오이타는 따펀으로 발음하고 큰 분할이라는 뜻이지만 그냥 지명이 으레 그럴 수 있겠거니 할 수 있다
유럽에서 알파벳을 쓰는 국가끼리 지명을 자기 식대로 읽어버려 콜로뉴 쾰른 뮌헨 뮈니히로 알아서 부르는 것과 비슷해보인다. 잠깐 여행가서 도파민 자극받고 싶은 관광객이 언어를 다 마스터하고 갈 수란 없는 법 아닌가
개념어휘가 많은 미술관 설명의 한자만 죽 읽고 대충 이해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사만화 선사시대 부분에서 히라가나만 빼도 우리도 이해할 수 있다. "제1권 구석기시대 대화정권 탄생. 육지 계속. 일본열도 래 인. 구석기시대 거쳐 승문시대 이행"
하지만 한계가 있다
//
386, 486, X, Z 등 비슷한 사회문화적 경험을 했던 하나의 연령대에 대한 귀속감을 드러내는 세대론은 21세기 이후 출생자들에게는 큰 힘이 없다. 나는 X세대다라고 자칭하는 사람과 그에 끄덕이며 동조하는 사람들은 여럿 보았어도, 나는 MZ세대야 나는 디지털 네이티브야 하는 2010년 출생자는 거의 못 보았다. 옛날에는 개콘이나 사극으로 일요일 저녁을 마감하는 등 보고 듣고 느끼는 삶의 질감이 비슷한 경우가 많았으나 지금은 취향이 세분화되어 있어서 동조감을 느끼기 어렵다. 심지어 남이 하는 것은 최대한 피하고 취향의 공동체를 소규모로 유지하고 싶은 경향도 뚜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