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을 기점으로 국현미 하반기 전시가 쏟아져나온다


국현미 상반기 가장 핫한 전시 론뮤익은 더워지기 전 봄에 갔어야했다. 


그러나 하반기 전시는 너무 급하게 갈 필요는 없고 더위가 사그라들고 나들이겸 가을겨울에 가는게 좋다.


우선 정리하면

과천은 지금부터 8.17 혹은 10.12까지

청주는 8.20-11.16 사이(혹은 8.20-9.7사이)

덕수궁은 8.14-11.9 사이

안국은 8.29-12.21 사이에 가면 가장 많은 전시를 볼 수 있다.


1. 과천은 모두 오픈해 전시실 풀방이다. 와엘샤키 아크람자타리 영상을 안 봤으면 8.17까지, 이집트무대영상 볼 생각이 없다면 젊은 모색 보러 10.12까지 가면 좋다. 한국현대미술 상설전은 2027년 6월까지 앞으로 2년 동안 그 자리에 있을 것이다. 윤형근 김환기 이중섭을 볼 수 있는 작은 독방들과 함께. 과천의 좋은 점은 시간순삭이 된다는 것이다. 한 번 들어가면 볼 게 많아서 풀가동 중일 때 가는 게 좋다.


개관부터 폐관까지 있을 수도 있을만큼 과천 지금 전시는 모두 만족도가 높다.


2. 청주는 특별수장고 드로잉 및 일본현대판화소장품이 7.22에 연다. 지난 드로잉전처럼 1시간 단위 입장이겠지만 2027년 12월까지 2년 넘게 전시하므로 시간은 넉넉하다.

충북, 청주시립과 공동개최하는 벙커전은 장소특정적 전시라 당산 생각의 벙커와 청주시립을 일일이 찾아가야하는데 8.20부터 11.16까지 하니 날 선선해지고 10월쯤 가면 좋을 것 같다.

그러니까 청주는 7~8월에 새로 오픈해도 가을 겨울에 가도 무방

물론 수채전을 안 봤다면 9.7까지는 가야한다.


3. 덕수궁은 광복 80주년 기념전시(8.14-11.9)를 하는데 근대 산수에서 근현대 풍경화로 전환해가는 과정을 담은 마일드하고 편한전시다. 덕수궁에서 하는 전시는 대부분 중장년층을 타겟으로 한 된장찌개 스타일, 익스트림 마일드한 맛이다. 이번 초현실주의전이 가장 실험적일 정도다. 난리부르스를 피는 현대예술입장에서는 이정도 초현실성은 고인물의 정물화에 불과할지도. 덕수궁도 날 선선해지고 낙엽 지기 시작할 10월 중하순에 산책삼아 가는게 좋겠다.

4. 안국은 2025년 LG OLED 작가 추수가 8.1, 김창열이 8.22, 올해의 작가상 8.29에 연다. 8월에 쏟아져 나온다.


추수작가는 지하공간 오픈스페이스에서 여는 장소특정적 작품이라고 하니 단독으로 보러가기보다는 다음 전시 열리면 함께 가는 게 시간 세이브가 될 것 같다.

추수작가+작가상 4명을 같이 보는게 취향이 맞다.

추수와 김창열을 동시에 좋아하기는 힘들다.

사이트 김창열전이 어느 전시실에서 하는지 안 써있는데 아마 높은 확률로 정영선 조경가 전을 했던 7전시실이 아닐까 싶다. 6전시실 지하로 끌고 내려가지는 않을 것 같다. 7전시실 앞의 중정이 있는 조경 공간과 함께 봐야 김창열의 물방울 회화 감상 경험이 더 좋을 것 같은데 그냥 추측이다.


그러니 합쳐서 8.29부터 12.21까지 세 전시 보기 위해 가을겨울 하반기에 한 번 가면 좋겠다.


2025년 국현미 안국 상반기는 론뮤익, 기울인몸들 그리고 한국미술 하이라이트가 테마였는데 론뮤익에 아주 큰 방점이 있었고 한국미술이 곁가지로 보조적으로 언급되는 데 그쳤다.


기울인몸들은 장애, 신체접근성이라는 주제의 중요함에도 전시DP가 친화적이지 않아 전달이 더뎌 이해가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광주ACC, 부산현대, 서울시립과 함께 네 전시가 신체, 장애, 접근성을 다룬 유의미한 전시였다. 국현미 기울인몸들은 7.20으로 소리소문없이 사라진다.


하반기에 새로 열리는 추수+올해의 작가상과 김창열, 그리고 지금 열리고 있는 한국미술 하이라이트전 이렇게 세 트랙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리움과 비슷하게 불닭맛, 진한맛, 순한맛을 동시에 여는 셈이다. 붉닭맛은 컨템포러리 예술의 최전선, 진한맛은 조금 이전의 현대예술, 순한맛은 옛미술.


리움의 피에르 위그가 너무 어려운 현대예술, 무슨 말을 하는건지 모르겠는 불닭맛, 그 앞의 현대미술전은 로댕도 있고 유명작가도 있어 진한맛이며, 순한맛은 분청사기 있는 고미술 상설전이라 비유해볼 수 있다. 익히 아는 이 순한 맛을 싫어할 사람은 거의 없지만 불닭맛은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공부할 게 많아 어렵고, 보기 쉽게 다가오는 그림이 아니라 대중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현대사회의 첨예한 이슈를 정면에서 충돌하는 승부사들이다.


뚝뚝 떨어지는 이물감, 퀴어성, 임신한 아바타 캐릭터의 추수

소리와 청취를 탈식민사, 이주이산 공동체의 맥락에서 탐구하는 김영은

데이터셋, 생성신경망을 발전주의사와 다루는 STS과학기술사회학의 언메이크랩 콜렉티브

미신 종교 외계를 다루는 임영주

동양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김지평.


그런 의미에서 추수+올해의 작가상4명은 불닭맛, 김창열은 순한맛이고, 진한맛은 진행중인 한국미술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5. 참고로 추수 작가는 베를린과 뉴욕 등에서 주로 소개되다가 2023년 8월에 WWNN에서 Humanism Reimagined: Embracing Change 단체전으로 조명하고 상히읗에서 그해 12월에 개인전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2024년에 국현미 청주에서 예측 (불)가능한 세계 단체전으로 김아영과 함께 단체전으로 국공립 메이저 미술관에서 소개되고

이제 2025년에 LG 8K 올레드 콜라보로 서울까지 올라왔다.


누크갤러리가 오종 작가를 발굴하고 서울시립에서 전시를 연 것처럼 어떤 안목 있는 갤러리는 작가를 미리 입도선매하듯 발굴한다. WWNN과 상히읗의 안목이 시대를 앞서갔다는 것을 방증한다.


6.

아래 사진은 2023년 녹사평 상히읗에서 했던 추수 작가에 대한 영상 아카이빙



아래 설명은 2023년 WWNN에서 했던 단체전 중 추수작가 설명


추수는 컴퓨터에 인류의 의식을 업로드 하는 가까운 미래를 상상합니다. Ai generator 로 만들어낸 버추얼 인플루언서 '에이미'는 가상 세계에 주체적 존재로서 물리적 세계에 통용되는 정형화된 사고 체계를 부정하고, 탈인본주의를 지향하고자 탄생되었습니다. 그의 '에이미' 세계관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허물어 진 근미래의 인간 정체성에 대해 조망합니다.

https://wwnn.kr/exhibitions/past/2

https://www.tzusoo.com/ko/cv


https://sangheeut.net/Alma-Redemptoris-Mater-sangheeut-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