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환갑엔 유튜브 잔치 - 좌충우돌 환갑 유튜버 도전기
정성희 지음 / 더로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F~

 

만약에~난 참 만약에를 달고 사는 아이였다.

 

어려서부터 내가 욕심내었지만

 

가지지 못한 것들에 대한 아쉬움을

 

"만약에~"라는 말로 풀었다.

 

 

처음엔 욕심이였다가, 투쟁이였다가~

 

포기를 넘어서 즐거운 상상!

 

마음만으로도 즐거운 상상으로 마무리하는

 

그런 만약에~

 

가령, 내가 오빠보다 누나라면

 

엄마, 아빠 사랑을 더 먼저 받았고

 

많이 받았을텐데라든지~

 

 

내가 만약에 20대로 되돌아 간다면~

 

그놈(X) 안 놓치고, 그놈(X) 안 만날 걸~

 

 

그리고 정성희 작가님처럼 난, 엄마를

 

다시 볼수 있는 고1때로 돌아가고 싶다.

 

나의 엄마는 고3때 내가 한참 사춘기를

 

치열하게 앓고 있을 때 내곁을 떠나갔다.

 

1때 내게 생긴 장학금 20만원이 있었다.

 

그때 엄마 종합검진 시켜드리려 했는데

 

그만 엄마는 나의 한달 하숙비로 쓰셨다.

 

만약에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면

 

내 하숙비 대신에 엄마의 종합검진을~

 

그랬다면 엄마의 암도 초기에 찾아서

 

더 오래 내곁에 있을지도 모를텐데....

 

 

얼마전 유일한 나의 가족이였던 오빠마저

 

엄마, 아빠가 계신곳으로 먼저 보냈다.

 

(살아서도 엄마, 아빠 사랑 독차지하더니...)

 

그래서일까? 엄마가 더 그립고 보고싶다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긍정 스위치를 켜야한다.

 

본문p.130

 

난 그동안 긍정의 스위치보다는

 

이생망 스위치를 많이 켰다.

 

 

젊기 때문에 행동하는 게 아니라

 

행동을 해야 젊어진다.

 

 

시작하기 위해 위대할 필요는 없지만

 

위대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

 

지그 지글러

 

젊음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젊었을 때 청춘은 원하지 않아도 저절로

 

나에게 주어졌지만 나는 감사함을 몰랐다.

 

그러나 이제는 이렇게 안간힘을 쓰며

 

붙잡으려 하는데도 좀처럼 잡히지 않는다.

 

 

젊은날엔 젊음을 모르고

 

사랑할 때 사랑인줄 모른다는

 

노랫말처럼 옆에 있을 땐

 

우리는 알지 못한다.

 

 

반백살을 한 발짝 남겨두고 있는

 

지금의 나로서는 나의 앞세대 선배님들이

 

보기엔 아직 배부른 소리겠지만...

 

세월 따라 찾아오는 노화현상은

 

어쩔 수 없다지만

 

배움을 멈춘다면 실제 나이와는

 

상관없이 우리의 뇌는 늙고 만다.

 

 

나보다 열살하고 한 살 혹은 두 살

 

(띠동갑 선배?)님인 저자님의 책을 보며

 

나는 나의 버킷리스트를 다시

 

작성하고 이생망 부정 키워드를

 

조금 바꾸어 보려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시를 읽는 오후 네 시 애지시선 95
최은별 지음 / 애지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홍역은 한 번 걸리면 두 번 다시 걸리지 않는다.

항체가 생겨서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별은, 상실감은 그렇지 못한 거 같다.

세상을 살면서 우리는 많은 이별을 하고

아주 많은 상실감에 아파한다.

4월5일 월요일 4교시가 끝나고

나는 유일한 가족과 이별을 하였다.

항상 엄마 아빠 사랑을 독차지 하더니

만나러 가는 것도 먼저 가버리다니.

그렇게 혼자 웃는 오빠의 사진을 뒤로하고

모든일들을 대충이라도 정리하고 상경해서

오늘이다.

왜 가족을 멀리 보내는 아픔은 이별은, 상실감은

면역형성이 되지 않을까?

저자 은별님은 프롤로그를 시작하며

"안녕"이라고 인사한다.

그 인사는 처음의 인사일까?

마지막의 인사일까?

그 짧은 인사를 내뱉지 못해서 오늘밤도

참 서글픈 그런 밤이 될 거 같다.

나는 별일 없이 사는가,

별 탈 없이 사는가,

혹은 별수 없이 사는가

본문p.21 허기中에서

별일 없이, 별 탈 없이 살아주렴.

남아있는 사람들에게(부탁)

생을 바쳐 오직 당신만을 부르고 싶었지만

당신이 내 혀에 가시처럼 박혀

나는 당신을 발설할 때마다

따끔따끔 아프다

본문p.47 가시中에서

아주 작은 기억.

너무나 작고 소소해서

도저히 기억해 낼 수도 없는

그런 너무나도 쓸데없는 작은 기억들때문에

따끔따끔 아프다.

남겨진 우리가 기억하는 당신의 그 기억들.

그 기억들이 차이가 우리를 조금씩

미소짓게 하는데....

그 작은 미소로 남은 우리는 버텨보기로.

추락하는 것들은 날개가 있겠지.

추락하는 것들만이 날개를 가질 자격이 있는거지.

희망이 있는 것들만 추락하는거지.

추락과 날개, 그리고 희망

당신은 차가운 낭만주의인가?

아니면 당신은 따뜻한 현실주의인가?

이 질문에 답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다.

매일 오후 네 시가 되면 아마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너를 존중해 - 사회성 마음의 힘 2
소피아 힐 지음, 안드레우 이나스 그림, 윤승진 옮김 / 상수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과 사람사이

존중하는 마음과 자세

참으로 중요하죠.

부모 자식간이든, 사제지간이든,

동료들, 친구들, 연인들 사이에도

존중하는 마음은

모든 인간관계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해요.



네권의 시리즈 중 두 번째,

사회성에 관한 책.

스페인 출신의 역동적인 심리학을.

전공한 저자 소피아 힐님의 노란 도서.



책표지며, 삽화 등등

모두 미취학 아동을 포커스로 하고

있지만 청소년에게도

심지어 청, 장년층에도

아주 유익한 책일듯요.



사회성이란?

우리는 태어남과 동시에 가족이라는

가장 작은 사회를 비롯해

국가나 민족, 세계 등

아주 큰 사회에 이르기까지

속하게 된다.

따라서 본능적으로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사회에 속하고자 하는

성질을 갖고 사회화 되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것을 우리는

사회성이라 말한다

본문p.7

우리는 사회를 떠나 독불장군처럼

살 수 없는 존재이기에.

나 자신을 타인에게

보여주면서 살아야한다.



때론 부끄럽기도 하고,

때론 말다툼을 피하기 위해서

그냥 넘어가기도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아이들의 시점에서

두려운, 무례한, 대담한으로

설명하고 있다.



나는 소심하며 두려운 사람일까?

나는 고집쟁이 무례한 사람일까요?

나는 항상 유쾌한 대담한 사람일까요?



물론 우리는 언제나 상대방에게

모두 맞출 수는 없다.

그리고 우리의 행동이 언제나

옳을 수도 없다.

그리고 이걸 우리는 인정해야한다.



대담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우리는 상대방과의 아이컨택이

중요함을 알아야한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을때도

다른 사람을 바라볼 때도~

저자는 아이컨택의 솔루션으로

상대방의 눈동자 컬러를 관찰하라고 한다.



좋은 생각인듯

오늘부터 상대방과 마주할 때

상대방 눈동자 색을 관찰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