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수일기
목수 김씨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김진송, <목수 일기>, 웅진닷컴, 2001.

부럽다. 그의 감각을 알기에 그림만으로도 얻을 것이 많을 것이라 생각하고 책을 구입했는데, 얻는 기쁨보다 부러움과 기죽음으로 오는 스트레스가 더 크다.
김진송, 그의 책을 여럿 봤다. 스스로를 목수라고는 하지만 단순한 목수가 아니다. 우선 그는 목수 이전에 인텔리다. 저자 소개에 어느 학교를 나왔다고 밝히지 않는 점도 특이하다. 글을 보면 공부가 보통은 아니다. 하긴 미술, 문화 평론가라는 소개만 보아도 단순한 글쟁이나 목수가 아님은 쉬 알 수 있다. 국민학과 미술사를 전공했다고 한다. 그리고 근현대 미술사와 문화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한다. 미술평론, 전시기획, 출판기획 등 다양한 일을 했다고 하며 저서도 적지가 않다.
그런 그가 목수 일을 한다. 그 과정을 책으로 낸 것이다. 나이 마흔에 시작했다는데 사실 보니까 집에서 어릴 적부터 해 본 솜씨다. 글보다 목수 솜씨가 더 뛰어나면 뛰어나지 못하지 않다. 그렇다고 글 수준이 떨어지는 건 아니다. 그의 현대문화 비평엔 내가 혀를 내둘렀던 경험이 있을 정도이니까.
그러니 내가 기죽을 수밖에. 그의 붓만으로도 사람을 압도하는데, 게다가 나무 다루는 솜씨라니, 더 할 말이 없다.
이 책은 그가 만든 목공예품의 사진들이 간간히 소개되고 그 작품을 만들면서 써두었던 일기들을 붙여 달았다. 문화 현상에 대한 평론적인 일기인 셈이니 만만히 읽혀지는 건 아니다. 글도 그렇지만, 그의 목공 작품들이 일품이다.
나도 저런 걸 만들 수 있을까. 못할 것은 없겠지만 우선은 작업실과 작업도구가 문제다. 물론 그의 감각은 영원히 못 따라가겠지만 그가 만든 것을 모델로 베끼기만 해도 작품이겠다 싶다.
암튼 책을 읽으며 앞으로 목공 작업을 함에 있어서 도움이 될 만한 글들을 옮긴다. 우선 산책을 할 때는 항상 톱과 손도끼를 들고 다닌다는 점이다. 차 트렁크에는 그보다 더한 작업 도구들이 있겠지. 차근차근 갖추고 다녀야겠다.
그 스스로를 규정하는 글이 재미있다.
"일상 속의 간단한 쓰임새조차도 산업적인 생산구조에 기대야 하는 삶에서 조금만 그럴듯한 걸 만들면 창작이니 예술이니 이름 붙이고, 그걸 업으로 삼으려면 직업적인 장이가 되어버리니, 그 한가운데 있으려면 나 같은 얼치기 목수가 제격이 아닌가 싶다."
그럼 나는? 하긴 나야 목수가 아니니까. 그냥 나무 만지는 걸 배우고 싶은 사람에 불과하니까. 별로 고민하지 않아도 되겠다.
몇 가지 재주가 필요하다고 한다.
"먼저 형태에 대한 관찰력. 방금 본 물건도 그대로 옮겨내지 못하는 것은 형태를 관찰하고 기억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형태에 대한 기억과 관찰은 거리, 깊이, 무게, 모양, 색채에 대한 공간 지각력을 바탕으로 하니, 그게 부족하면 그리기와 만들기 같은 재현은 매우 어렵다. 여기에 상상력이 보태어지지 않으면 또 재현은 불가능하다. 보이지 않는 것을 유추하는 상상력이 없으면 그림은 단지 사진처럼 단순한 모사에 머무른다.
이 두 가지가 있은 다음에야 이른바 손재주가 필요하다. 그러나 손재주는 대개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반복과 연습을 통해 익힌 기술이 때로는 공간 지각력과 상상력을 높일 수 있으니, 역시 손과 머리는 따로 떨어진 게 아니다."
결국 생각하고 관찰하고 손을 부지런히 움직이라는 것이겠다.
'목수와 먹물'이라는 꼭지의 글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지식인이라면 무불통지의 깊이를 갖춘 전문가가 되어야 하며, 세상을 바라보는 데 사회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균형 잡힌 시각이 있어야 하며, 문화적 현상과 예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있어야 하며, 자신을 객관화할 수 있는 논리와 인식론을 바탕으로 한 철학적 판단의 근거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그럴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다시 목수는 연장을 능숙히 다루는 기술, 나무에 대한 풍부한 지식, 물건의 기능과 꼴에 대한 미학적 기준과 판단이 있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힘과 끈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는 이렇게 말해 놓고 자신은 목수가 되기에도 부족한 사람이라 겸손을 떤다.
암튼 그건 중요치 않고, 그가 말하는 목수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을 곰곰이 생각해 본다. 그리고 결론은 그저 열심히 하자 뿐이다. 얼치기다. 나는.
농촌과 전원과 자연을 보는 그의 눈 역시 날카롭다. 흔히 웰빙 바람의 전원주택에 대한 비판이다. 농촌적 시스템과는 완전히 정반대인 가상적 공간일 뿐이라는 것이다. "도시적 모더니티의 실패를 전원이 보상해 줄 것이라는 믿음은 터무니없는 것"이라고 한다. 맞는 말이다. 생태적 가치, 거기에다가 한국현대사의 모순이 집중된 지점으로서 농촌을 상정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관념의 장난일 뿐이다.
그의 직업적 고민이 담긴 글 한 구절.
"따지고 보면 목수가 되려 한 것은 생계의 문제이기 이전에 품성 탓이다. 거친 품성은 도끼질하기에 알맞고 공격적인 성향은 연장을 드는 데 주저함이 없다. 조급한 성격으로는 물건을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남들과 더불어 일하지 못하니 혼자 하는 일이 제격이다. 반복적인 일을 끔찍이 싫어하니 늘 새로운 걸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여간 대단한 사람이다. 어쨌거나 나는 여기서 다른 것보다 그가 만든 작품을 보면서 나름의 디자인 구상만 잘 해도 본전은 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