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티브 -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을 위한 섬세한 심리학
일자 샌드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나니 다른 내용들을 다 접어두고서라도, 자신이 요즘 집중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알 것 같아졌다. 눈에 밟히는 요소들이 자존감, 자신감, 자기애. 자기애와 함께 나오는 자기연민 부분이 좀 애매하긴 했지만, 자기 자신에 대해 온 신경이 몰려있는구나 싶어졌다. 누구에게 이 책을 추천해주면 좋을까 생각해봤는데 생각의 끝에 아이러니하게도 나 자신밖에 떠오르지 않았다. 책의 맨 뒷편에 있는 자가 테스트부터 해보고 내용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이야기하는 대목에서 얼마 전 봤던 "거절당하기 연습"의 저자 지아 장의 테드 강연이 떠올랐다. 그의 강연이 인상적이었던 터라 그 대목을 읽자마자 떠올랐는데, 이는 내가 지금 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원치 않는 모임 거절하기'와 맞물린 의미가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반대로 그는 거절을 당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나는 거절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셋의 연관이 약간은 애매한데, 그는 거절 당하는 것도 그가 제안을 하는 것처럼 제안을 받는 사람의 의사표현일뿐 그것이 그의 가치에 손상을 주거나, 인생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짓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님을 알고자 했다. 그리하여 좀 더 자신있게 자신의 소신을 펼치는 삶을 살기 위한 밑거름으로 썼다. 일자 샌드의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 관한 내용도 남에게 자신의 의견을 말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거부당하지 않을까, 그의 기분을 상하게 만들어 관계가 망가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그런 염려들에서 벗어나 자신을 표현하여 진정한 모습으로 삶을 살도록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요지다. 이쯤되면 단순히 인간관계에 더이상 치여 살고 싶지 않다는 핑계로 시작된 나의 '원치 않는 모임 거절하기'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시도되는지도 알 것 같아졌다. 그리고 여전히 내성적인 것과 민감한 것이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 것일까 애매하게 여겨졌다.

 

 3장으로 들어서면 점점 더 공감되는 내용들이 나온다.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나, 문득 사람들 사이에서 [그러다가 결국 너무 지쳐서 아무에게도 설명하지 않고 누구도 눈치 채지 못하게 뒷문으로 빠져나올지도 모른다.] 는 행동을 하거나, 내 사적인 공간을 누구와도 나누고 싶지 않다는 소망하에 [손님이 너무 오래 머물러서 자신이 탈진하게 될까 봐 아예 손님을 초대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처럼 행동하던 자신의 이력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공감되는 내용들이 나오면서 점차로 나는 내가 어떤 성향의 사람인 것인가 헷갈렸는데, 앞선 2장에서 나왔던 자존감에 대한 내용이 자연스레 다시 떠올랐다. [자존감은 자신의 본질을 이해하고, 자신의 깊은 가치를 아는 것이다.] 나는 특별히 내가 민감한 사람이라고 의식하지 않았고, 않는다. 그래서 이런 몇 문장에 공감하게 되는 것이 그 사람의 성향을 단정지을 수 없는 일이라고 여기게 되면서도 이게 혹시 보통의 범주에서는 대수롭게 여겨질만한 특이점이었던가 싶어졌다. 다만 나는 자신이 내성적인 면이 있다는 것은 인정한다. 남들과 처음 만나는 일에 어려움을 겪거나 하지는 않지만, 함께 있는 시간보다 혼자 있는 시간을 더 즐기고 집 밖으로 나서는 일이 벅차 두통이라는 피곤으로 돌아올 때도 있었다. 그렇지만 완전히 내성적인 것도 아닌 것이 무리와 어울리는 일을 적당히 해내거나, 내 직업은 언제나 사람을 상대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과 나의 거리는 애매하게 멀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저자가 [인간은 두 가지 성으로 구분될 뿐 아니라 이러한 두 가지 유형으로도 구분된다.] 고 하는 문장을 첫장 두번째 문단에 두었을 때부터- 물론 뒷부분으로 가면 '사람의 수만큼 다양한 유형'이 있고, 이런 분류를 하는 것은 [사람들을 여러 가지 유형으로 설명하는 것은 실제로 엄청나게 다양한 사람이 존재한다는 걸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지만 사람의 성은 두 분류로 나뉘어질 수 없으며, 이제 그것을 알고 인정하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민감함이 주는 특징인 사려깊음에서 벗어난 시작이 아니었는가 하고 반발심이 들었었다. 거기에 계속해서 반복되는 '높은 민감성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표현들이 기존의 '내향적인 사람들'에 대한 규정과 크게 다르지 않아 내향적이다라는 말이 가진 부정적인 느낌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 용어에 머문 것 같단 생각도 들었다. 게다가 이 책안에 인용된 상담자들의 말은, 민감한 사람들인데도 자신의 이야기가 책에 실리는 것이 괜찮았을까 싶을 정도로 내밀한 내용도 있었다. 개인의 트라우마가 되었음직한 어린시절의 일이나 쉽게 말하지 못했을 속마음 같이.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들' 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책을 읽었다. 책 날개에 달린 당신은 얼마나 민감한 사람입니까? 하는 질문들을 읽다보니, 민감하다는 것일까 소심하다는 것일까 싶게 애매했고, 얼마전에 읽었던 "고슴도치의 소원"이라는 책이 떠올랐다. 예민함, 민감함, 소심함같은 성향은 거시적이고 전체적인 것을 바라보던 흐름에서 미시적이고 개인적인 것에 집중하게 된 시기로 변화하면서 화두로 떠오른 우리의 일부가 아닐까. '혼밥'이라는 것도 어찌보면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나온 한 갈래같다. "센서티브"에서는 모두가 다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존재라고 했지만 그래서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들'이 있다고 보고 있지만, 내 생각은 좀 다르다. 누구나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다른 성향에 묻혀 덜 드러나는 사람이 있고, 그 특질이 가장 크게 표출되는 사람도 있는 것이라고. 그렇기 때문에 미안하지만 민감한 것이 뭔가를 더 느낄 수 있고, 더 세심하게 앞일을 대비하는 성향이 되고, 남들보다 특별하게 되는 특질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하고 싶었다. 그것은 섬세함이거나, 신중함, 개인의 신념이나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엇나가는 시선으로 읽어서 어쩌나 싶었는데, 한편으로는 여러 갈래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