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내가 상상하는 사람이 아닌 다른 어떤 사람이라는 생각을 했어. 당신의 정체성에 대해 내가 착각을 했다는 생각.˝


정체성이란 무엇일까? 내 자신이 스스로 인식하는 걸까? 아니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걸까?


밀란 쿤데라의 <정체성>을 읽고 나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와 같은 생각을 할 것이다. 아무리 주변에 휘둘리기 싫더라도, 나 자신의 생각이 중요하다 하더라도 우리는 인간이기 떄문에 주변 사람들을 신경쓸 수 밖에 없고, 휘둘릴 수 밖에 없다. 사람을 괜히 人間 이라고 한게 아니었다. 어쩌면 나의 정체성은 주변사람들이 나를 바라보는 시선의 다른 말이 아닐까?


소설 <정체성>의 주인공은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자식이 있었으나, 자식이 죽고나서 전 남편과 이혼하고 혼자 살아가는 ˝샹탈˝과 그녀의 연하의 연인 ˝장마르크˝ 이며, 두 사람의 관계 속에서 서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이야기이다.


남자친구 보다 하루 일찍 노르망디 해변에 있는 한 호텔을 찾은 ˝샹탈˝, 그녀는 해변을 거닐면서 ‘남자들이 결코 더 이상 나에게는 한눈을 팔지 않느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또한 남자친구인 ˝장마르크˝는 다음날 해변으로 내려가 ˝샹탈˝을 찾지만 다른 여자를 보고 그녀로 혼동한다. 도대체 내가 사랑하는 그녀는 누구일까? 그는 이러한 혼동을 얼마나 자주 겪었을까?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타인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후 ˝샹탈˝은 연인인 ˝장마르크˝에게 남자들이 더이상 자신을 돌아보지 않는다는 말을 하게 된다. 아주 가벼운 말투로. 하지만 그 말을 하는 그녀의 목소리는 쓸쓸하고 우울했다. 이 말을 들은 ˝장마르크˝는 이러한 그녀의 말에 혼란을 느낀다.

[남자들이 더 이상 돌아보지 않아서 슬프다고? 그는 이렇게 말하고 싶었다. 그렇다면 난 뭐야? 난 말이야? 당신을 찾아 해변을 수킬로미터씩 헤맸고, 울면서 당신 이름을 부르며 달려갔고, 당신을 따라 지구 끝까지라도 뛰어갈 수 있는 나는 뭐지?]  P.29



어느날 ˝샹탈˝에게 발신이 없는 한통의 편지가 도착한다. 그 편지는 그녀를 남몰래 연모하는 사람이 보낸 것으로, ˝샹탈˝은 처음에는 불쾌하였으나, 이후 자신을 바라보는 남모를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왠지 모를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 마치 이 한통의 편지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은것처럼 그녀는 편지의 발신인을 찾기 위해 주위를 살피게 된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시선을 의식해서 자신을 꾸민다. 그렇다면 그녀의 옆에 있는 연인 ˝장마르크˝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한 남자가 한 여자에게 편지를 쓴다면 그것은 훗날 그녀에게 접근하여 유혹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자가 이 편지를 비밀로 간직한다면 그것은 오늘의 조심성이 내일의 모험을 보호해 주길 바라기 때문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편지를 간직한다면 그것은 그녀가 이 미래의 모험을 사랑으로 이해하려는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P.109



발신인 불명의 편지를 둘러싼 두 연인은 이후 갈등을 겪는다. 그리고 그녀는 그에게 감정적인 폭발을 경험하게 되고 무작정 런던으로 떠난다. 도대체 그의 잘못은 무엇이고, 왜 그녀는 그렇게 분노했던 걸까? 무작정 그녀의 뒤를 쫓는 ˝장마르크˝, 두사람은 오해를 풀고 다시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까? 서로의 ‘정체성‘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까?





이야기 자체가 어렵지는 않지만 작가인 ˝쿤데라˝가 작품속에 다양한 메세지를 숨겨놓고 있다. 특히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꿈인지에 대한 구분이 모호하고,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난잡한 꿈에 대한 해석은 상당히 어려웠다.


그럼에도 이 책이 독자에게 전해주는 메세지 하나는 확실히 느꼈다. 우리는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나를 알 수 있다고, 타인의 사랑만이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고.

[˝나는 더 이상 당신으로부터 눈길을 떼지 않을 거야. 쉴 새 없이 당신을 바라보겠어. 내 눈이 깜박거리면 두려워, 내 시선이 꺼진 그 순간 당신 대신 뱀, 쥐, 다른 어떤 남자가 끼어들까하는 두려움. 그냥 당신을 보기만 할 거야. 밤새도록 스탠드를 켜 놓을 거야. 매일 밤마다.˝]  P.183



오랜만에 읽은 ˝쿤데라˝ 옹의 작품으로, 내가 읽은 그의 네번째 작품이었다. 이전에 읽은 <농담>,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불멸>에 비해서는 다소 재미 측면에서는 떨어지지만, 그래도 역시 대가의 작품은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1-12-20 20:5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사랑도 어려운데 정체성까지. 뭔가 심오합니다.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나를 알 수 있다는 새파랑님 구절보니 궁금증이 생기네요. 약기운에 이렇게 무리하심 안되어요 새파랑님 ㅎㅎ 편한 밤 보내세요 ~

새파랑 2021-12-20 21:03   좋아요 5 | URL
아 이게 손이 안좋아서 그런지 오타도 많고 내용도 개판이네요 ㅜㅜ 자세한건 최근에 ˝쿨캣˝님이 올리신 리뷰를 보시면 될거 같아요 😅

mini74 2021-12-20 21:06   좋아요 5 | URL
리뷰 넘 좋아요 새파랑님 ~~~ 오타는 제가 1등이니 새파랑님 숟가락 얹지 마시고요 ㅎㅎ 오늘도 리뷰 넘 좋아요 *^^*

새파랑 2021-12-20 21:10   좋아요 5 | URL
이게 시간이 지나면 내용을 까먹어서 빨리 썼습니다 ^^

scott 2021-12-20 21:04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새파랑님 핀 뽑고
쿤데라옹 리뷰를!!
이거슨[불멸]의 리뷰로 북플에서 기록 될 것 같습니다 ^^

새파랑 2021-12-20 21:10   좋아요 5 | URL
<불멸>의 리뷰를 써봐야 하는데 ㅋ 저녁이 되니까 상태가 좋아졌습니다 ^^

Falstaff 2021-12-20 21:08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장-마르크보다 네 살이 많은 샹탈이 장-마르크의 생각과는 전혀 별개로 이리 말하는 장면.
˝남자들이 더 이상 나를 돌아보지 않아.˝
의사불통의 시작이 되는.... 쿤데라 다운 장면 변환이, 이 책에서 나오지요 아마?

새파랑 2021-12-20 21:13   좋아요 4 | URL
전 방금 읽었는데 네살 많다는건 몰랐어요 😅 폴스타프님 기억력이 짱이시군요~!! 쿤데라 다운 변환 맞는거 같아요 ㅋ

청아 2021-12-20 21:1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프랑스 영화로 기억하는데요, 한 남자가 앞을 못보는데 한 여자를 사랑하거든요? 그 남자가 눈을 수술해서 드뎌 앞을 보게되자 여자는 자기를 보고 실망해 더이상 사랑받지 못할까 두려워해요. 결말이 충격적인데 제목이 생각안나요😭 결국 남자가 다시 시력을 포기? 새파랑님 리뷰읽고 떠올랐어요^^*

새파랑 2021-12-20 21:36   좋아요 4 | URL
헉 뭔가 내용이 엽기(?)적이면서 좀 슬프네요. 그런데 왠지 공감이 가는 이야기네요. 혹시나 실망할까봐 하는 걱정은 만국 공통의 고민인거 같아요. 미미님 영화 제목 생각나면 알려주세요 😆

페넬로페 2021-12-20 22:1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어떤 분이 그러시던데 샹탈이 장마르크를 너무 사랑해 자신의 아이가 죽은 것에 대해 어떤 자유를 느낀다고 하더라고요~^
그것이 쿤데라다운 발상인지 넘 궁금했어요~~
손이 불편한데도 새파랑님의 열정은 언제나 대단하십니다^^

새파랑 2021-12-20 22:32   좋아요 3 | URL
˝샹탈˝이 죽은 아이에게 감사해 하는 내용이 써있긴 합니다~! 그런데 저는 ˝장마르크˝를 너무 사랑해서라기 보다는 그냥 자기 위안으로 느꼈어요. 소중한 걸 잃고나서 그래도 어떻게든 좋게 생각하려고 하는 마음?? ㅎㅎ

키보드로 하면 그래도 글쓰는게 괜찮더라구요 ^^

coolcat329 2021-12-21 12: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앗 읽으셨군요~~농담, 불멸도 읽으셨네요. 소품같은 귀여운 작품이에요. ㅎㅎ

새파랑 2021-12-21 13:19   좋아요 3 | URL
분량도 딱 적당하더라구요 ㅋ 앉은 자리에서 바로 읽었습니다~ 전 쿨캣님 리뷰보고 도대체 편지의 범인은 누군지 궁금해서 읽었어요 ^^

오늘도 맑음 2021-12-21 13:3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책에대한 열정~!
한권을 읽더라도 허투로 보내지 않고, 사유하는 모습이 너무 멋지고, 정말 보기 좋습니다.
전 나열하신 네권 중 정체성을 제외한 세권을 읽었습니다만, 새파랑님 처럼 깊게 고민해 보지 않았던 것 같네요ㅠㅠ 역시 새파랑님~!!
책과 함께 늘 지금처럼 빛나시길 바래요~!!

새파랑 2021-12-21 13:34   좋아요 3 | URL
열정만 넘치고 글을 잘 못써서 늘 고민입니다 😅 저도 유명한 세권만 읽었고 이번에 새로 읽었는데 좋았습니다~! 과찬이지만 너무 감사합니다 ^^

희선 2021-12-22 02:3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다른 사람이 있어야 자신을 알기도 할지... 다른 사람한테 비친 자신을 보기도 하겠지요 그건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조금 다르기도 한 듯해요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도 있는데, 둘 다 자신이겠지요


희선

새파랑 2021-12-22 03:11   좋아요 2 | URL
타인을 통해서 보는 나와 내가 생각하는 나가 다르기는 하죠. 희선님 말씀처럼 두 모습 다 내 모습이 맞는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