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2014. 12. 8. 월 `자기 앞의 生` - 에밀 아자르

창녀의 아들로 태어나 엄마 아빠의 얼굴도 모르고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의 끔찍한 기억을 갖고 있는 유태인 로자 아줌마에 의해 키워진 열네 살 아랍인 소년 모모.
그가 자신을 돌보아주었던 로자 아줌마가 뇌혈증으로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았던 슬프고 아픈 한 시절의 이야기.

˝사랑하는 사람없이 살 수 있나요?˝를 묻던 모모가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스스로 깨닫게 되고...
그리하여 죽은 로자아줌마의 시체 곁을 3주일을 지키며 자신의 방식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마지막 대목에서는
가슴이 울컥했고 머리속이 하얘졌다.
사랑했던 이를 잃은 허망함과 아픔 뒤에도 스스로 ˝사랑해야 한다˝라고 이야기하는 14살 소년. 정말이지 어메이징이다.

아랍인이든, 유태인이든, 아프리카인이든, 가톨릭신자든... 그리고 너이든 나이든... 인간의 삶을 관통하는 유일무이한 진실.
˝사랑해야 한다˝ ... 소설 `인생`에서 위화는 사람은 살아가는 것 자체를 위해 살아가지 그 이외의 어떤 것을 위해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맞는 얘기.. 그러나 사랑이 없다면 살아가기 위한 힘을 얻을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삶의 온기를 느낄 수 없다는 것 그리하여 우리의 인생이 빛날 수 없다는 것...

사랑해야 한다.
앞날을 알 수 없는 인생이지만
`자기 앞의 生` 그 한치 앞이라도 비추며 나아가기 위해서는.. 사랑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형의 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8
헨릭 입센 지음, 안미란 옮김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 12. 2. 화. `인형의 집` - 헨리크 입센

누군가를 죽인 것도, 불륜을 저지른 것도 아니고
아픈 남편의 요양을 위해 아버지의 서명을 위조하여 돈을 빌린 것 뿐인데...
남편에게 그 사실이 발각되어 남편을 실망시킬까봐 걱정을 하다니...
언제나 남편의 취향대로 남편의 즐거움을 위해 남편의 꼭두각시가 되어 살아온 가여운 여인 노라.

사랑받고 편안한 삶 이면에 한 인간으로서 마땅히 누리고 가꾸어 나가야 할 스스로의 의지와 자존감을 상실한다는 것은
19세기 말 북유럽에서나 21세기 초 대한민국에서나 마찬가지로 슬프고 아픈 일이 아닌가...싶다.
노라처럼 지금의 우리도 정말 뭣도 아닌 것 때문에 인생 다 산것 처럼 전전긍긍해하는 모습이 너무나 닮아있다.

사회, 관습, 법률이 그녀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요구하는 판단과 행동이 옳은지 그리고 그것을 따라야만 하는지는...
˝스스로 생각하고 설명을 찾아야˝ 한다는 것.
`관습` 그 자체가 악습이거나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습` 그리고 `주류의 규범`을 무조건 따를 것을 요구하는 사회적인 분위기와 이에 대한 개개인의 고찰이 결여된 것.
그것이 악습이고 큰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노라가 떠나고 난 빈자리에 남아 맴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셀프
얀 마텔 지음, 황보석 옮김 / 작가정신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14. 8.5. 화 `Self` - 얀 마텔

남자로 태어나 18살 생일에 여자가 되고 다시 26살.. 끔찍한 강간을 겪으며 다시 남자가 된 주인공의 허구의 자전적 소설 `Self`

`Life of Pi` 에서는 태평양 한가운데서 뱅갈 호랑이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터득해 가는 주인공으로 나를 매혹시켰던 얀 마텔이 이번에는 `올란도` 처럼 성을 바꾸며 자신의 남자로서 그리고 여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방황하는 이야기로 나를 휘어잡았다... 소설가의 상상력은 정말이지 독자에 대한 `구원` 그 자체인 것 같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유쾌하고 설레이는데 가슴 저리고 씁쓸하다. 어린 시절부터 서른 살까지 파란만장한 인생을 엿보는 성장 소설의 즐거움도 있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헤매는 한 인간의 고단함이 무겁다.
우리가 무엇을 믿는다는 것은 결국 그것을 선택함으로써 세상에 우리 자신을 드러내는 일... 나는 무엇을 믿고 있고 또 거기에는 나의 무엇이 담겨 있는가... 무엇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는가... 주인공의 디테일한 내면 묘사는 결국은 나를 향해 던져지는 수많은 질문들이 되어 나를 당황스럽게 하기도 했다.

책을 보면서 몇 번이나 앞 쪽을 뒤적거렸는지 모른다. 주인공 이름이 뭐였더라... 하면서. 내 심각한 건망증으로 또 외국 소설 주인공 이름이 뇌리에 박히지 않는구나 하면서. 그런데 내 뒤통수를 친 것은 주인공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 `Self`. 그냥 그 자신 혹은 그녀 자신 이었던 것. 왜 였을까... 작가가 주인공에게 이름을 주지 않았던 이유는.. 소설 속 `나 자신`의 시각과 경험을 통해 소설을 읽는 독자 `나 자신`이 소설을 완성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였을까?
같은 소설일지라 하여도 책을 읽은 수많은 독자의 수 만큼 다른 인격체로 완성되는 소설의 세계가 새삼 신비롭다.

..................
우리 눈의 맑은 액체는 바닷물이고, 우리 눈에는 물고기가 있다.
사랑은 눈에 있는 물고기의 먹이이고 사랑만이 그 물고기들을 키운다.
열정적인 포옹을 하고 있는 중에 숨결이, 숨소리가 가장 거세어지고
피부가 가장 짜릿해질 때 나는 내가 무아지경에서 바다의 일렁임을 듣고 느낄 수 있다는 생각 같은 것을 한다.
.... 어찌됐든 간에 나는 아직도 사랑은 대양같은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Self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의 한가운데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5
루이제 린저 지음, 전혜린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2014.7.12. 토. `생의 한가운데` - 루이제 린저

Nina..
엷은 공기 속에서는 살 수 없었던 여자..
열과 동요와 변화를 필요로 했던 여자...
많은 위험을 감행할 성질의 여자...
나쁜 운명이 그 여자를 가져다 놓은 장소를 결코 떠나지 않고 운명은 어쨌든 의미 있고 정당하다고 믿었던 여자...
토끼처럼 밤낮 사는 것에 넌더리가 날 지라도 지금이 아닌 다른 삶, 나 아닌 타인의 삶을 원치 않았던 여자...
소름이 끼치는 추악함 일지라도.. 그것을 외면하면 생의 중요한 것을 보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여자...

질풍노도의 시기에 늘 내 곁에 두었던 책을 20년이 훌쩍 지나 다시금 펼쳐보니... 그 시절 가슴에 품었던 니나의 모습이 아주 조금이나마 내 안에 물들어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소설 속 현재의 니나가 서른 여덟인 줄은 미처 기억하지 못했다. 지금의 내 나이 즈음이라는 것이 왠지 더욱 애틋하다. 사랑과 좌절, 생에 대한 집념과 갈등... 기만과 타협을 용납치 않는 고집스러운 니나... 여전히 그대로의 모습인 그녀와의 간만의 재회가 너무나 설레었고 반가웠고.. 또 고맙다. 삶의 모델이었던 그녀가 이제는 친구처럼 여겨진다.

불안하지만 도전적인 그녀의 모습이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주말 저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Little Prince (Paperback, New edition)
Katherine Woods 옮김, 생 텍쥐페리 글 / Egmont Books / 1991년 1월
평점 :
품절


2014. 7. 4 `The little Prince` - Antoine Saint-Exupery

˝The grown-ups are certainly altogether extraordinary˝...

가끔씩. 몇 년에 한번씩 펼쳐보는 어린왕자..
서른 아홉 여름 문턱에 펼쳐든 어린왕자는...
너무 슬프고 아프다.

어느 시절엔 분명 어린왕자의 마음으로 어른들의 우스꽝스럽고 모자란 모습을 답답해했던 내가...

이제는 이상하기 짝이 없는 `the grown-up`이 되어서, 나만의 작은 행성에서 맴돌고 있다는 것이 너무나도 생생히 와닿는다.

이래서 이야기는 생과 함께 변해가고 완성되어가는 것이라나 보다.
나만의 `어린왕자`는 몇년 뒤 또 어떤 새로움과 감동으로 되살아날런지...

다시 만날 그때는 이상한 어른들의 모습이 비수처럼 와닿지 말고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꽃과 사랑에 빠지고 누군가를 기다리는 시간에 설레어하며
해지는 풍경을 위해 해 질 시간을 기다리는
마음이 꿈결처럼 와닿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