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뻬 씨의 행복 여행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오유란 옮김, 베아트리체 리 그림 / 오래된미래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일 오후 다섯 시부터 한 시간 동안 방송되는 EBS 라디오 <화제의 베스트셀러>라는 프로그램을 종종 듣는다. 타이틀대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베스트셀러를 한 시간 동안 아나운서와 성우 두 분이 낭독하는 방송인데,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제3인류> 등 인기 작품 위주인 데다가 텍스트로 된 소설을 음성으로 듣는 재미가 쏠쏠해서 즐겨 듣고 있다.


<꾸뻬 씨의 행복 여행>도 이 방송의 낭독을 듣고 읽게 되었다. 이 책은 배우 이보영 씨가 지금은 없어진 <달빛프린스>라는 프로그램에 애독서로 소개해 베스트셀러가 되었는데, 아무리 유명한 책이라도 내용을 알기 전에는 읽지 않는 편이라 관심을 두지 않다가 낭독을 들으면서 흥미를 느꼈다.


줄거리는 간결하다. 파리 중심가 한복판에서 일하는 정신과 의사 꾸뻬 씨는 자신의 진료가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느끼고 행복의 비결을 찾아 여행을 떠난다. 저자 프랑수아 를로르 역시 정신과 의사 출신이라고 하는데 본인의 이야기일까? 백퍼센트 픽션은 아닐 것 같다.


꾸뻬 씨가 찾은 행복의 비결 역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그러나 잊고 살기 쉬운) 행복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 행복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는 것이다, 때때로 뜻밖에 찾아온다,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등등 무엇 하나 특별하거나 새로운 것은 없다.


다만 보통 사람들의 생각과 다른 점이 있다면, 사람들은 흔히 돈이나 부동산 같은 물질이나 사회적 명예가 행복의 동의어라고 착각하지만, 꾸뻬 씨가 찾은 행복은 알려지지 않은 아름다운 산속을 걷는 것이나 채소밭을 가꾸는 것 같은 아주 소박한 것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는 부와 명예를 모두 누리는(혹은 그렇다고 여겨지는) 정신과 의사 출신의 프랑수아 를로르의 이야기이니 믿어볼 만하다.


동화 <파랑새>의 교훈처럼,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있다. 하지만 어떤 행복은 가까울 때보다 멀리 있을 때 더 잘 보이고 잘 느껴진다. 그래서 사람들은 여행을 하는 것이 아닐까? 지금 당장 행복을 찾아 여행을 떠나기가 여의치 않다면 <꾸뻬 씨의 행복 여행>으로 대신해 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