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늑대 -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
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동진의 빨간책방'에서 이동진 평론가 님이 추천해주셔서 읽게 된 책이다. (요즘 읽는 책의 절반 가까이는 빨책에서 소개되는 책인 듯) 마침 요네하라 마리가 강아지, 고양이 등 포유류 아홉 마리와 동거한 이야기를 쓴 산문집 <인간 수컷은 필요없어>, '탄산고양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웹툰 작가 전지영의 책 <혼자라서 좋은 날> 등을 읽고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급' 높아진 참이었는데, 무려 늑대와의 동거 생활 이야기라니! 읽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저자 마크 롤랜즈는 철학자다. 늑대를 키운다고 하니 별난 사람일 줄 알았는데, 직업은 대학 교수에 취미는 미식축구, 파티를 좋아하고 친구도 많은 평범한(?) 사람이었다. 그는 우연한 기회로 늑대 '카레닌'을 키우게 되었다. 인간과 가장 친한 동물인 개에 비하면 늑대는 야생성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편이지만, 카레닌과 생활하면서 그는 늑대가 얼마나 경이롭고 존엄한 동물인지, 그에 비해 인간은 얼마나 약하고 어리석고 잔인한 존재인지를 깨닫게 되었다.

 

책에는 저자가 카레닌과 만나게 된 순간부터 이별할 때까지 함께 생활하며 경험한 일들이 자세히 나와 있다. 거기에 철학자로서의 사유와 깨달음까지 더해져 있어 철학서로서도 손색이 없다. 동물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새로운 장르의 동물 에세이 같은 느낌이 들 것이고, 철학 에세이를 좋아하는 사람은 반려동물이라는 일상적인 주제를 통해 철학적인 사유를 하고 깨달음을 얻는 저자의 모습에서 배우는 바가 있을 것이다. 나는 동물 이야기도 좋아하고 철학 에세이도 좋아하는 사람이라서 이 책을 통해 두 가지의 기쁨을 모두 누릴 수 있었다.

 

그러고보니 지난 주말에 본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와 비슷한 점이 있다. 인간과 동물이 함께 생활하면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우주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얻는 내용이라는 점이다. (<라이프 오브 파이>는 해석이 여러 가지로 분분하지만, 어쨌든.) <라이프 오브 파이>를 보면서 나는 우주에 인간말고도 많은 종의 생물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중 몇이나 눈으로 직접 본 적이 있고 함께 생활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일까? 인간 외의 생물이라고는 새나 곤충이 고작인 공원과 산, 바다는 이제 자연이 아니라 무덤이라고 불러야 하는 게 아닐까?

 

<철학자의 늑대>를 읽으면서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생각의 위험성, 인간과 자연의 균형이 깨진 세상의 불합리함과 불공평함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었다.

 

 

 

우리 곁을 머물렀던 사람들에 대한 기억은 의식적으로 기억하지 않아도 우리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 누군가를 기억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그들이 형성하도록 도와준 나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p.72)

 

우리의 가장 아름답고 가장 두려운 순간들은 타인에 대한 기억을 통해서만 우리의 것이 된다. 나의 순간은 우리의 순간이며, 나는 무리를 통해서만 나 자신을 기억할 수 있다. (p.3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