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책 없이 해피엔딩 - 김연수 김중혁 대꾸 에세이
김연수.김중혁 지음 / 씨네21북스 / 2012년 5월
평점 :
김연수의 소설은 전부터 꾸준히 읽어왔다. 한국 소설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닌데도 유난히 김연수의 소설은 찾아 읽게 되었다. (내가 소설을 읽는 속도에 비해 그가 소설을 내는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게 함정!) 김중혁은 <이동진의 빨간책방>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고, 지금은 가장 좋아하는 한국 소설가를 물으면 그의 이름을 댈만큼 좋아한다. 두 사람이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30년을 동고동락한 오랜 친구 사이라는 것도 <이동진의 빨간책방>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는데, 마침 두 사람이 책도 같이 낸 적이 있다고 해서 찾아봤더니 그 책이 바로 <대책 없이 해피엔딩>이다.
두 사람이 친구에서 다른 관계로 발전하여 해피엔딩... 하는 내용은 절대 아니고(두 분 다 기혼이신 것으로 알고 있다), 2009년 영화 잡지 <씨네 21>에 1년 동안 '나의 친구 그의 영화'라는 제목으로 공동 연재한 영화 관람기를 묶은 것이다. 김천 시내를 뛰어다니며 놀던 두 남자아이가 자라서 함께 책을 펴내는 공동 필자가 될 것이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 두 사람의 팬인 나는 그저 이 우연인지 운명인지 모를 인연에 감사할 따름이다.
소설가는 소설도 많이 읽어야 하지만 영화도 많이 봐야 하는지, 이들의 영화 편력은 보통 수준이 아니다. <쌍화점>, <워낭소리>, <마더> 같은 한국 영화 화제작은 물론, <렛미인>, <슬럼독 밀리어네어>,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등 외국 영화와 비주류 영화까지 섭렵한 것을 보면 '영화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이들의 말은 겸손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거기에 그들의 글까지...!!! 두 사람의 소설도 좋지만 산문집도 매우 좋아하는데(이제까지 김연수의 <청춘의 문장들>, <여행할 권리>, 김중혁의 <뭐라도 되겠지?>를 읽었고, 좋아한다.) , <대책 없이 해피엔딩>은 둘의 산문을 책 한 권에서 한번에 읽을 수 있는 데다가, 연재 형식이라서 각 글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읽는 재미가 굉장했다.
특히 좋았던 것은 우열을 가리기 힘든 두 사람의 유머. 김연수의 유머는 잔잔히 흘러가다가 한번에 빵 터지고, 그것이 반복되면서 계속 웃기는 식이라면, 김중혁의 유머는 어눌한데 은근한 재미가 있고 깊은맛(!)이 있다. 안 그래도 글 잘 쓰는 사람도 좋아하고, 유머러스한 사람도 좋아하는데, 이 분들은 소설도 잘 쓰고 유머러스하기까지 하니 그야말로 '대박'이다. 앞으로 계속 계속 좋아하게 될 것 같다.
문제(?)는 이 책 때문에 올 겨울 해야 할 일이 늘었다는 것. 일단 이 책에 소개된 영화들을 섭렵하고, 곁들여 소개된 책이나 드라마(<전원일기>는 패스!)도 봐야지. 영화 <셜록 홈즈>를 소개하면서 언급된 소설 <셜록 홈즈> 이야기 때문에 며칠 전에 <셜록 홈즈> 전집도 구입했다. (설 연휴에 절반이나 읽었다!!!) 전부터 보고 싶었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도 보고, 역시 전부터 좋아했던 작가 미타니 코키의 영화와 드라마도 찾아서 봐야지. 책 제목은 <대책 없이 해피엔딩>인데, 나의 버킷리스트는 '엔딩'을 보기가 어려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