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문학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닌데, 유일하다시피 관심을 가지고 신간이 나오면 살펴보게 되는 작가가 바로 김연수다. 이유는 잘 모르겠다. 분위기가 좋아서? 글이 좋아서? 아무튼...... 김연수의 소설을 읽을 때마다 나는 그가 한국의 무라카미 하루키 같다는 생각을 한다. 작은 사건에서 시작하여 급물살을 타듯이 큰 주제로 나아가는 이야기 전개 방식도 그렇고, 담담하고 간결한 글의 느낌도 비슷하다. 무엇보다도 자국 문학의 한계를 뛰어 넘어 이국적인 것, 외국의 것을 글 속에 도입하려고 노력하는 점이 닮았다. 한국 문학이 앞으로 세계에 더 알려졌으면 좋겠고, 한국 문학의 장르와 내용이 보다 풍성해지길 바라는 마음에 김연수에게 남다른 애정을 가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의 신작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역시 한국이 아닌 외국에서 이야기가 시작되고, 외국으로 입양된 여인 카밀라가 주인공이라는 점이 특이했다. (그의 단편집 <세계의 끝 여자친구>에도 입양아가 한국에 와서 부모를 찾는 비슷한 설정이 있었다.) 작가인 카밀라는 의뢰받은 글을 쓰기 위해 사진 한 장만 달랑 들고 사진 속 어머니의 땅 한국을 찾는다. 그녀는 수소문 끝에 사진에 관한 정보와 어머니에 대한 단서를 하나씩 하나씩 알게 되고, 상상조차 하지 않은, 자신의 출생에 관한 무서운 진실을 알게 된다.

 

후반으로 갈수록 카밀라보다는 카밀라의 출생의 비밀에 관한 내용이 주가 되는데, 이 때 카밀라가 아닌 다른 화자의 입을 빌어 서술되는 점 역시 신선했다. 카밀라만 보면 단순히 입양된 여자가 어머니를 찾는 이야기다. 하지만 후반부는 다른 화자의 입을 빌림으로써 사건의 진실이 객관적인 르포가 아닌, 여인의 원한 서린 비가(悲歌) 같은 느낌으로 절절하게 다가왔다. 뿐만 아니라 카밀라의 출생의 비밀을 파헤치는 큰 줄거리 속에 노동자와 사주 간의 대립, 노동자들의 비참한 현실, 사람 사이의 소통이 단절되고 끝내 부재하는 현상, 고독의 문제까지 다양한 문제가 어우러진 점도 인상적이었다. 개인의 삶은 언뜻 섬처럼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많은 사람들의 관계와 사건의 중첩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생각해보니, 카밀라는 우리말로 '동백' - 추운 겨울에 눈부시게 붉은 빛깔을 뽐내는 꽃의 이름이다. 도무지 꽃이 필 수 없을 것 같은 계절에 피어나는 동백처럼 카밀라는 태어났고, 우리 인간도 도무지 살 수 없을 것 같은 환경에 놓여져도 꿋꿋이 살아간다. 아니, 살아진다. 그것은 인간의 힘이기도 하지만, 인간이 태어나기 전부터 엄청난 사랑과 애정을 쏟아부어준 존재 - 바로 그 존재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그렇기에, 언젠가 이 책을 잊어도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너를 생각하는 것은 나의 일이었다'던 화자의 말은 잊을 수가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